인천공항공사, 롯데 빠져나간 1터미널 면세사업자 선정 돌입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이르면 이달 말부터 제1여객터미널에서 철수하는 롯데면세점의 후속 사업자 선정 작업에 나선다.

 

공사는 15일 정례 브리핑을 열고 “여객불편과 공항운영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규정과 절차에 따라 후속 사업자 선정 입찰을 이달 말 혹은 내달 초 착수 예정”이라고 밝혔다. 롯데면세점 측이 반납한 사업권 계약해지 효력 시점인 오는 7월 6일에 맞춰 후속 사업자가 영업을 승계하도록 한다는 게 공사의 계획이다.

 

롯데면세점 측은 지난 9일 공사로부터 사업권 계약해지 승인 공문을 받았다. 이에 4개 사업권 중 주류·담배 사업권(DF3)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사업권을 반납하게 된다. 후속 사업자 선정에는 해외 면세점 사업자를 포함해 약 4∼5개 업체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사는 또 현재 1터미널 면세사업자들과 갈등을 빚는 임대료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객분담률(전체 여객 수송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임대료 감면을 원칙으로 거듭 제시했다. 터미널 이용객 수에 따라 임대료를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공사는 “여객분담률은 면세점뿐만 아니라 제2터미널 오픈 이후 임대료 조정 대상인 8개 상업시설 업종에 공통으로 명시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임대료 조정 기준”이라며 이 같이 설명했다.

 

반면 업계에서는 항공사별 구매력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저가항공사 이용객 구매력이 대형항공사 이용객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제2터미널 개장에 따른 항공사 재배치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사는 “항공사별 이용객의 구매력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있고 구매력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산출이 불가능하다”며 “이를 반영한 임대료 조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