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실적 호조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낸 법인세 비용이 8조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9일 재벌닷컴이 10대 그룹 상장사의 2017 회계연도 별도기준 결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85조 1천140억 원으로 전년(47조 5천990억 원)보다 78.8% 증가했다. 비과세 비용 공제 등 세무조정을 거쳐 산출된 법인세 비용은 17조 5천540억 원으로 전년(10조 2천700억 원)보다 72% 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룹별로는 삼성그룹 소속 상장사의 세전이익이 40조 5천250억 원으로 전년(18조 2천210억 원)보다 122.4% 늘어났다. 이에 따라 법인세 비용도 사상 최대인 8조 6천71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4조 2천450억 원보다 104.3% 증가한 수치다. 특히 반도체 호황에 최대 실적을 낸 삼성전자의 법인세 비용은 7조 7천330억 원으로 전년보다 145.8% 증가했다.
SK하이닉스 등 SK그룹 상장사들도 세전이익이 244.9% 증가한 18조 820억 원에 달하면서 법인세 비용이 3조 5천450억 원으로 331% 급증했다. LG그룹과 포스코그룹 상장사의 법인세 비용은 각각 1조 2천410억 원, 8천940억 원으로 10.8%, 90.8% 증가했으며, 롯데그룹은 25.4% 증가한 8천760억 원, 한화그룹은 111.9% 급증한 4천720억 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실적 부진을 겪은 현대차그룹 상장사들은 세전이익이 34.6% 감소한 8조 1천320억 원에 그쳐 법인세 비용도 1조 5천960억 원으로 32.8% 줄었다.
이처럼 역대 최대 규모 법인세 비용에도 기업들의 실제 세 부담인 ‘유효세율’은 20.6%로 오히려 전년보다 0.8%포인트 낮아졌다. 유효세율은 세법상 세액에서 비과세 비용 공제 등 세무조정을 거쳐 산출된 법인세 비용을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실제 세 부담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