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경기도에 23개 화장시설을 추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혐오시설이 들어설 것을 우려한 도내 지자체들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지자체가 다른 지역에는 괜찮지만, 우리 지역에는 혐오시설을 유치할 수 없다는 ‘지역이기주의’까지 보이고 있어 지자체 간 마찰도 우려되고 있다.
20일 보건복지부와 경기도내 지자체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15일 경기도에 23개의 추가 화장로 건설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된 ‘제2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018~2022년)’을 발표했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4월 수요조사를 벌일 예정으로, 이를 통해 화장로 건설을 필요로 하는 지자체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 도내 지자체들이 주민 반발을 의식해 화장시설을 유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님비(NIMBYㆍNot In My BackYard)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지난 2011년 경기북부지역에 공동으로 화장시설을 건립하려다 주민 반발에 부딪혔던 포천, 가평, 구리, 남양주, 동두천, 양주, 의정부시 등 7개 시ㆍ군은 “우리 지역에는 화장장을 절대 유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경기북부지역에서 화장장 건립에 선뜻 나서는 지자체는 없을 것”이라며 “경기동북부지역 지자체가 합동으로 화장장을 만든다면 적극 찬성이지만 우리 지역에는 주민 반대가 심해 화장시설을 건립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의정부시 관계자도 “화장시설 확대는 국가시책이고 실제로 도내에 화장시설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주민들이 기피하는 혐오시설을 반기는 지자체가 어디 있겠느냐”며 “시민 반발이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우리 지역에 화장장을 설치할 수 없다”고 밝혔다.
화장장이 건립돼 있는 지역들도 화장로를 추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화장시설을 두고 도내 지자체 간 갈등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재 성남시는 화장로 15기가 설치돼 있는 화장장이 있지만 현재 수요를 감당하기 충분하다며 추가 증설에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수원시 역시 화장장을 개ㆍ보수해 공간을 확보하면 추가로 화장로를 설치할 수 있지만, 주민들의 반응을 우려해 보건복지부의 이번 방침을 검토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정부 방침에 따라 각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지자체들과 논의해 화장장 설치에 대한 조정방안을 찾겠다”며 “올해 안으로 각 시ㆍ군과 협의해 경기도 차원의 장사시설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성봉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