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로봇랜드, 기반시설 조성 하세월… 공사비 대체출자 지지부진

인천시가 10년째 표류 중인 인천로봇랜드의 수익부지를 늘려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반시설공사가 선행돼야 함에도 공사비 부담 주체를 놓고 인천도시공사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시간만 축내고 있다.

 

22일 시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예정인 인천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 변경 승인 시 도시공사가 보유한 로봇랜드 부지의 가처분 면적이 증가하므로 증가된 매각부지의 일부를 대토 또는 매각을 통해 기반시설공사비 지원 요청했다.

 

반면, 도시공사는 협약서상 지원주체가 시로 명확하며 기반시설공사비를 공사 소유 토지로 조달하려면 해당 토지를 시 또는 SPC에 무상양도해야 하는데 법적 근거가 없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도시공사는 올해초 해당 부지를 SPC가 매입하거나 공사가 공사비를 지원하면 시가 대체출자를 통한 해당 부지 상당액(669억원)을 보전해야 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시는 현재까지 이 같은 안에 대한 확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약 850억원에 달하는 기반시설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땅을 파는 방법 자체도 현재로서는 무리다. 평당 가격이 236만원에 불과할 정도로 기반시설을 조성하지 않고 땅을 팔 경우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기 때문이다. 결국 도시공사 입장에서는 시가 대체출자를 해주지 않을 경우 사업을 진행할 방법이 없기에 새로운 대안을 마련, 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방법밖에 없다.

 

따라서 인천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 변경 용역이 마무리되는 오는 10월 이후에서야 기반시설 조성을 통한 토지가격을 높여 매각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시 관계자는 “수익부지를 늘려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며 “기반공사비 마련을 위해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체출자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시가 대체출자를 해주지 않으면 사업을 진행할 방법이 없다”며 “사업의 중요성을 고려해 시와 협의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