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부족 고양시 치매사업 감당하기 어려운 형편

이에 내실사업보다는 목표량 채우기 급급 일부 비판

고양시가 연간 수십억 원의 예산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치매사업이 인력부족으로 늘어난 사업량을 감당하기 어려운 형편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자 시는 일찌감치 내실있는 사업 도모보다는 목표량 채우기에 급급하다는 일부 비판도 초래하고 있다.

 

21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국ㆍ도비와 시비가 반영된 2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덕양구 보건소와 일산 동구ㆍ서구 보건소 등 3개 보건소에서 치매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60대 이상 기준 치매 환자가 전체 인구(103만)의 20%인 24만 명으로 파악됨에 따라 이들을 상대로 치매선별 검사, 치매예방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을 주관하는 각 보건소는 경기도의 치매검사 할당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인력으로 형식적인 치매검사 수준에만 그치면서 치매사업이 당초 기대됐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각 보건소 치매 담당 인력의 경우 덕양구 6명, 일산동구 5명, 일산서구 7명인데 비해 지난해 이들이 실시한 치매선별 검사는 각각 8천, 6천, 5천여 건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덕양구는 1명 당 1천300여 명의 검사를 진행한 셈으로, 나머지 보건소도 같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검사 과정에서 노인들이 치매에 걸린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이후 지속적인 전수조사 및 검사, 관리 등 추후 관리가 진행되지 못하면서 치매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리는 실정이다. 게다가 시는 올해 덕양구 1만3천건, 일산동구 7천400건, 일산서구 7천390건 등 도로부터 할당받은 치매검사 목표량이 지난해보다 급격히 늘어나면서 내실있는 치매사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는 커녕, 벌써부터 목표량 달성에만 급급한 모양새다.

 

시민 A씨(49ㆍ여)는 “부모님을 모시고 보건소에서 치매 확진을 받았지만, 추후에 특별한 조치가 없어 일반 병원에 의존하고 있다”며 “치매 예방부터 사후 관리까지 이어지도록 운영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보건복지부가 무기계약직 근로자 편성을 권고했지만, 급여 등의 제반 문제가 부담돼 시간제 근로자로 채용하면서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면서 “상부 기관에서 안정적인 채용에 대한 강제 규정을 만들거나, 각 지자체 실정에 맞는 할당량을 제시해 치매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김상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