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내 광역쇼핑시설(2개 이상 시·군 주민이 사용)이 중소유통부문 상권을 최대 12.7%까지 잠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5일 경기연구원이 낸 ‘지역 간 상권갈등의 쟁점과 제도적 처방’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주민 1천5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최근 5년 이내 출점한 광역쇼핑시설(복합쇼핑몰, 창고형 대형마트, 대형 패션아울렛) 중 복합쇼핑몰을 주로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월평균 22만9천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 달 평균 쇼핑 지출금액 135만원의 17%가량이다.
특히 복합쇼핑몰 이용경험률과 월 이용횟수 등을 감안해 분석한 결과, 복합쇼핑몰의 중소유통부문 상권잠식률은 최대 5.0%로 추정됐다. 같은 방식으로 추산한 창고형 대형마트와 대형 패션아울렛의 중소유통부문 상권잠식률은 각각 최대 7.3%와 0.4%였다. 이에 따라 전체 광역쇼핑시설의 상권잠식률 합계를 최대 12.7%로 경기연구원은 계산했다.
광역쇼핑시설 이용객의 거주지 분포 조사에서는 해당 도시 주민 비중이 30% 내외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나머지 이용객은 타 시·군 주민이다. 현대백화점 판교점의 지역별 이용객 비중은 성남시 23.6%, 수원시 12.0%, 용인시 10.1%, 서울 강남구 9.7% 등으로, 성남시보다 인접 도시 주민 이용이 훨씬 많았다. 코스트코 광명점도 광명시 거주자가 29.8%에 불과했고 안양시 23.4%, 부천시 8.5% 등의 이용객 분포를 보였다.
신기동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광역쇼핑시설의 상권 특성을 반영해 상권영향평가 기준을 반경 3㎞에서 5∼15㎞로 확대하고, 광역지자체로 초대형 쇼핑시설 인허가권을 이관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