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이달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비 30억 등 39억 투입 차질
정부 주무부처 ‘오락가락’ 피해 산자부, 예산지원 ‘묵묵부답’
인천시가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이었던 ‘바이오산업 육성전문센터’ 구축한다는 계획에 빨간불이 켜졌다. 총 사업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비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이달부터 2021년 2월까지 총사업비 39억원(국 30억원·시 6억원·IBITP 3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의 선도사업인 바이오산업 입지를 다지고자 ‘바이오 산업 육성 전문 센터’를 구축키로 했다.
시는 바이오육성센터가 조성되면 바이오 전문훈련센터 교육장비와 전문강사진을 구축, 삼성바이오와 셀트리온 등 바이오업체의 인력난을 해소(3년간 전문인력 144명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국제공항과의 거리가 가깝고 국제기구와 바이오업체, 대학 등이 밀집한 송도국제도시가 바이오육성센터를 세우기 최적의 장소로 보고 있다.
하지만, 산업통산자원부 공모사업이었던 이 사업은 지난해 정부 조직개편에 따라 중소기업벤처부로 이관되면서 국비 확보에 비상등이 켜졌다. 중기부가 바이오산업이 자신들의 업무성격과 맞지 않고 사업추진 의지가 없다고 밝혀서다. 바이오산업 육성전문센터는 산자부의 바이오·나노쪽 업무와 비슷하기 때문에 산자부와 협의 하라는 것이다.
이에 시는 산자부에 수차례 찾아가고 문의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결국 시는 올해 시예산 6억원과 IBITP 예산 3억원 등 총 9억원을 가지고 소규모 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세웠다.
문제는 소규모 사업을 진행하려던 계획마저도 수월하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시가 최종 목표로 송도 11공구에 있는 산업기술단지에 바이오융합센터를 구축, 그 안에 ‘바이오산업 육성전문센터’를 넣을 계획인데 인천경제청이 부지를 확정하지 못해 답변을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산업 육성전문센터 사업 자체가 정부 사업인데, 주무 부처가 조직개편으로 인해 산자부에서 중기부로 이관되는 바람에 일이 틀어졌다”며 “본래 사업주체인 산자부로 다시 넘어왔지만, 어떠한 답변도 듣지 못해 답답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