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거티브 등 경선전 과열 따른 잡음 차단 의지
결선투표 도입 요구 도지사 후보들 반발 예상
더불어민주당이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과 관련, ‘컷오프 후 원샷 경선’ 방식으로 사실상 가닥을 잡으면서 결선투표 도입에 찬성한 경기도지사 후보군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결선투표는 1차 투표에서 과반을 받은 득표자가 없을 경우 1·2위 득표자를 추려 다시 한 번 투표를 진행해 후보자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25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경기도지사 후보군들 사이에서 결선투표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기류가 형성됐다. 양기대 예비후보는 지난 22일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과 결선투표 도입에 합의,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에 관련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재명 예비후보도 지난 24일 페이스북에서 “후발주자들로서는 얼마든지 결선투표 도입을 요구할 수 있고 나는 그 요구를 수용한다”고 밝혀 기대감이 고조됐다.
하지만 당 핵심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과 관련해 결선투표제와 1·2차 경선은 논의된 바가 전혀 없다”면서 “컷오프를 통해 2∼3인을 추려 경선을 한다는 게 당의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여당에 대한 지지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경선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네거티브를 비롯해 경선전 과열에 따른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지만 도지사 후보군 간 이미 합의가 이뤄진 만큼 내홍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 의원 측 관계자는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후보자 간의 합의가 된 사안에 대해 당이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 예비후보 측에서도 “세 주자가 이미 합의한 상태인 만큼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당의 공식입장이 나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결선투표를 요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양 예비후보는 이날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능력 있는 후보, 도덕적 흠결이 없는 후보가 나서야 한다”며 경쟁자들에게 권역별 토론회를 제안,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에 대해 전 의원과 이 예비후보 측은 토론회 자리가 마련되면 참석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내놨다. 전 의원 측은 “경선 과정에서 정책, 도덕성, 자질 등에 대해 검증할 기회가 많아야 한다. 어떤 내용, 어떤 형식의 자리도 마련된다면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예비후보 측은 “룰은 당이 정하는 것이고 후보는 룰을 따르면 된다”며 “권역별 경선토론회 등 경선 룰은 당이 정하는 대로 따르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당은 26일 당무위에서 선거 120일 전까지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한 규정을 푼 뒤 광역단체장 후보를 추가 공모할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까지 진행된 광역단체장 공모에는 총 47명(경기 3명, 인천 3명)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