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주의로 늘어난 ‘원산지검증’… 철저한 대비 필요”

대한상의·산업부 ‘원산지검증 대응’ 설명회…통관 등 관련 전문상담

▲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부 FTA종합지원센터가 개최한 ‘FTA 활용과 원산지검증 및 통관애로 대응 설명회’에서 보호무역주의 한 형태로 각국 세관의 FTA 원산지검증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며 FTA별 원산지 검증절차와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수입국 세관의 검증요청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경기일보DB
▲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부 FTA종합지원센터가 개최한 ‘FTA 활용과 원산지검증 및 통관애로 대응 설명회’에서 보호무역주의 한 형태로 각국 세관의 FTA 원산지검증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며 FTA별 원산지 검증절차와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수입국 세관의 검증요청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경기일보DB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보호무역주의 한 형태로 각국 세관의 FTA 원산지검증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며 FTA별 원산지 검증절차와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수입국 세관의 검증요청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부 FTA종합지원센터는 26일 서울 남대문 상의회관에서 ‘FTA 활용과 원산지검증 및 통관애로 대응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서 서준섭 FTA 종합지원센터 관세사는 ‘FTA 원산지검증 사례 및 대응방안’ 발표를 통해 “최근 거세지고 있는 보호무역주의는 FTA 협정에서도 더욱 강화된 원산지검증이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며 “FTA별 원산지 검증절차와 방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언제든 제기될 수 있는 수입국 세관의 검증요청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준섭 관세사는 “한-미 FTA 협정에 따라 기업들은 원산지증명서를 자율적으로 발급한다”며 “이 경우 사후 원산지증명에 대한 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 세관이 수출업체를 방문해 직접 원산지를 검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더욱 위협적”이라고 말했다.

김상모 FTA종합지원센터 단장은 인사말에서 “원산지 증명서 발급부터 원산지검증 단계까지 FTA종합지원센터 등 지원기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세미나 이후에는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상담회가 진행돼 기업들은 통관·수출인증·지적재산권 등에 관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