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컷오프 후 원샷 경선’을 통해 광역단체장 후보를 선출하기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당 지도부가 결선투표 도입 문제를 매듭짓지 못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당은 26일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 결선투표 도입 문제를 논의하려 했으나 깊이 있는 의견 수렴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다만 당 지도부 사이에서는 결선투표제 시행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져 실제 도입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지방선거기획단은 이날 최고위 관련 자료에서 “결선 투표는 도입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 회의 참석자는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 방식은 ‘2~3인 원샷 경선’이 원칙”이라면서 “예비후보자의 숫자가 많다면 모르지만 대부분 3명인데 한 번의 경선으로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 역시 “경선을 많이 한다고 해서 반드시 흥행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며 “결선투표 도입 문제를 한 번 정도 더 논의하겠지만 큰 변동은 없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앞서 결선투표 도입에 동의한 경기도지사 후보군들은 신중하면서도 침착한 반응을 보였다.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 측과 이재명 예비후보 측은 “경선 룰과 관련해서는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결선투표제 도입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에 제출한 양기대 예비후보 측은 “아직 당에서 최종 결정을 내린 게 아닌 만큼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에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에 이석현 의원(안양 동안갑)을 임명했다. 부위원장은 이원욱 의원(화성을)이, 간사는 임종성 조직부총장(광주을)이 각각 맡았다. 아울러 민주당은 최고위 회의 도중 당무위를 열어 광역단체장 출마 시 선거 120일 전까지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한 규정을 풀기로 했다.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조만간 광역단체장 추가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