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대행, 임원회의 당부…개인사업자 대출 리스크 관리도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금융감독원이 취약기업과 업종에 대해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개인사업자 대출 등에 대해서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유광열 금감원장 대행은 이날 열린 임원회의에서 취약기업 및 업종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할 것을 임원들에게 당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만성적인 수요부진으로 기업들의 저성장·저수익이 지속해 왔으나, 지난해부터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주요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기업의 이자 부담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호무역 움직임 강화, 원화 강세 등으로 수출기업의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 대행은 “대내외 위험요인이 실물 및 금융부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점검하고 취약기업 및 업종별 동향에 대해서도 철저히 모니터링해 주기를 당부한다”며 “금융회사도 기업부문 부진 가능성에 대비해 내부유보 확대, 자본확충 등 건전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대행은 개인사업자 대출 등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 지난주 개최된 가계부채점검회의를 통해 가계대출뿐 아니라 개인사업자대출에 대해서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 대행은 “신설된 건전성감독조정팀과 관련 부서들이 긴밀한 협업체제를 구축해 개인사업자대출 관리를 위해 필요한 부분을 잘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개인사업자 대출이 중소서민 금융부문에서 많이 증가했는데 가계대출 규제차익 거래를 엄격히 감독해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할 것이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는 P2P 대출시장에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투자자 피해가 우려돼 발생가능한 위험 요인들을 선제적으로 잘 살피고 관리해 주기를 당부했다.
금감원은 이달 19일부터 26일까지 P2P연계 대부업체 30곳을 현장 조사하고 P2P 연계대부업체를 통한 P2P대출 형태와 투자자보호 실태 등을 조사했다. P2P 연계대부업체가 감독·검사 대상으로 편입된 후 첫 현장 조사였다.
P2P 대출 누적 대출액은 2016년 6천289억 원에서 2017년 2조3천400억 원 증가했다. 연체율(30일 이상)도 같은 기간 1.24%에서 7.51%로 크게 늘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