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경기도 예비후보 등록, 여성도 민주당 ‘쏠림 현상’

여야가 이번 6ㆍ13 지방선거에서 여성 입후보자들에 대해 혜택을 강화하며 인재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예비후보 등록현황에서 여성 후보의 ‘여당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의 강세 속에 야당이 여성인재 영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더불어민주당ㆍ자유한국당에 따르면 양 당은 이번 지방선거를 맞아 여성 공천 신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우대 정책을 개선하며 정치 참여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여성 인권 운동인 ‘미투 운동’의 여파로 여성들의 정치적 목소리가 커진 상황에서 여성 표심 공략을 위해서도 능력 있는 여성 정치인 발굴이 각 정당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흐름이다.

 

민주당은 지난 5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공직후보자 심사단계에서 여성에게 15% 가산점을 부여하며, 경선에 돌입한 이후에는 25%까지 확대키로 했다. 한국당은 이보다 한 달 이상 빠른 1월31일 당헌·당규를 개정하고 여성에게 경선 시 본인이 얻은 득표수에 20%를 가산하고, 이들이 청년이나 정치신인 등에 속하는 경우 최대 30%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실력 있는 여성 정치인 발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대선부터 이어진 여당 강세 흐름으로 인한 여야 간 인재 쏠림 현상이 심화하며 민주당과 한국당의 여성 인재 영입 성적도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경기도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 예비후보에 등록한 여성 후보자들의 수는 민주당 98명, 한국당 44명으로 두 배 이상 격차를 보이고 있다. 

기초단체장은 민주당 10명, 한국당 6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광역의원 15대 6, 기초의원 73대 32 등 한국당의 열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이자 정치 입문의 첫 단계인 지방의원 예비후보자 수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향후 양 당의 여성 정치인 대결에서도 한국당의 고전이 예상된다.

 

이에 한국당에서는 아쉬움을 드러내면서도 끝까지 여성 인재 영입에 당력을 기울이겠다는 각오다. 한국당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 간사인 김명연 의원(안산 단원갑)은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가산점 등 특혜를 주더라도 기본적인 예비후보 지원이 있어야 적용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해 답답한 상황”이라면서도 “현재 경기도당을 비롯한 각 시ㆍ도당에서 여성 인재 영입에 불을 켜고 있는 상황이니 아직 낙담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