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1년까지 490억 투입해 ‘재난·치안용 드론’ 개발

정부가 오는 2021년까지 490억 원을 들여 ‘재난·치안용 드론’ 2천800대를 제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청, 경찰청, 해양경찰청은 29일 열린 ‘2018년도 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 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확정했다.

 

‘재난·치안용 드론’이 보급되면 소방관·경찰관들은 사건·사고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상황 파악을 끝낼 수 있어 신속한 작전 이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위험한 지역에 사람 대신 투입, 소방관과 경찰관들의 안전도 확보해줄 수 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하면 드론이 먼저 날아가 현장 상황을 영상으로 실시간 상황실로 전송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렇게 되면 현장에 도착한 소방관들이 현장을 파악하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바로 진화작업에 나설 수 있다.

 

이와 함께 불법조업을 막고 선박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급파되는 드론은 탐조등과 스피커가 장착된다. 불법조업용 드론은 조업형태와 허가 번호판 등의 정보를 파악하는 역할을 맡는다. 선박사고 현장에서는 구명환을 투하하거나 연안의 유류 유출 해역을 촬영해 실시간으로 상황실로 전송하게 된다.

 

정부는 이 사업을 총 29개의 드론 전문기업과 학교, 연구기관들과 함께 한다. 이들은 드론 임무장비와 시스템통합(SI), 소프트웨어, 원격관리체계 등 현장대응을 위한 토탈솔루션을 개발하게 된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