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돼지 농가에서 국내 첫 A형 구제역이 발병(3월28일 1면)한 가운데 구제역 전파경로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방역 당국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전파 경로를 규명해야 신속한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 차단 등이 가능하지만, 현재로서는 가축 이동제한, 소독, 백신 접종 등이 최선의 방법인 만큼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29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김포 구제역 발생농가 전파 경로를 조사했으나 기존의 발병 요인 등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외국인 근로자나 축산농가의 구제역 발생국가 해외여행, 축산물 등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는 것 등이 전파경로인데 김포 발생농가는 해당 사항이 없었다. 농장주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이 없었고, 외국인 근로자도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 역시 전파 경로가 규명되지 않았다.
게다가 종전에는 소에서만 발병했던 A형 구제역이 이번에는 돼지에서 처음 발병한 것이어서 방역당국을 더 긴장하게 하고 있다. 지난해 연천 젖소 사육농가의 경우 농장주가 구제역 발병 5개월 전인 2016년 9월 A형 구제역이 발생한 베트남 관광을 다녀와 바이러스 감염의 한 요인으로 지목됐으나 정확하게 원인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다.
도 관계자는 “조류인플루엔자(AI)는 철새가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것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구제역은 전파경로가 명확하지 않다”며 “특히 A형 구제역은 지금까지 역학조사에서 전파경로가 명확하게 나온 적이 없다”고 말했다.
도는 구제역 발병과 전파 경로가 밝혀지지 않으면서 소독, 이동제한, 백신 접종 외에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도는 추가 확산이 안 되길 기대하며 방역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예방적 살처분 조치에 반발하던 김포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3㎞ 이내 돼지 사육농장 7곳이 예방적 살처분을 하기로 합의하면서 대상 돼지 5천300여 마리를 살처분하기로 했다.
양형찬ㆍ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