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한강 어민피해 초래 끈벌레류 발생 원인 연구 용역 7월 결과 발표

고양시는 한강 하구 어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끈벌레의 발생 원인 등을 오는 7월 발표한다.

 

3일 시에 따르면 시는 끈벌레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을 통해 ‘한강 수질과 끈벌레류 발생원인 규명 및 실뱀장어 폐사 원인 등 어업피해 영향조사’ 연구 용역을 지난 2016년 8월부터 23개월간 진행하고 있다.

 

끈벌레류 조사지역은 서울시 하수처리장~행주대교 남단 구간이다. 또 수질오염 조사는 가양대교~신곡수중보 구간을 직접범위로, 서울시 시계~김포시 시계~파주시 시계를 간접범위로 진행 중이다.

 

연구 세부 내용은 끈벌레류에 대한 서식지 및 증가원인 등 생태, 독성조사, 어획량, 실뱀장어 조업실태 및 피해조사, 서울시 오염원으로 인한 한강 수질오염, 한강 수질오염이 어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어민 피해규모 등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연구 용역 진행률은 87%로, 오는 5월 2차 자문위원회를 거쳐 7월께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민 피해 최소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끈벌레는 20~30cm 크기로 머리 부분은 원통형에 가깝지만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납작해 이동성이 좋다. 주로 모래나 바위 밑, 펄 속,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끈벌레는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식으로 환형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다양한 어류를 마구 잡아먹는 포식성을 보인다.

 

고양=김상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