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고형연료사업 허가 취소하라” 상여 메고 거리로 나선 평택 시민들

환경부가 도일동에 허가 내주자 “대기오염물질 배출 시설 안돼”
반대 추진위 구성 반발 집회

▲ 평택시 도일동 주민 폐기물 고형연료  소각장 설치 반대 상여 거리행진
▲ 평택시민연대 등 주민들이 4일 평택시청 앞에서 평택 일원에 추진 중인 ‘폐기물고형연료(SRF)사업’의 승인 취소를 요구하며 상여투쟁을 벌이고 있다.

평택시민연대 등 지역 주민들이 평택 일원에 추진 중인 ‘폐기물고형연료(SRF)사업’에 대해 ‘환경부 허가·승인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상여 투쟁에 나서는 등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4일 평택시민연대와 평택시 등에 따르면 A산업은 평택 도일동 일원에서 폐기물고형연료사업(SRF제조 및 전용보일러 사업)을 최근 환경부로부터 허가, 승인받아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고형연료(SRF)사업은 생활폐기물ㆍ폐고무ㆍ폐비닐 등의 폐기물을 고체 덩어리로 압축해 만든 고형연료를 이용, 발생하는 증기로 하수슬러지 건조시설에 열을 공급하는 방식의 사업으로 주로 열병합발전소 등에 납품한다.

 

A산업은 그동안 에너지 진출사업 서두르면서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달 30일 환경부로부터 통합환경허가 승인을 받았다. 당시 병합해 진행해 오던 SRF열병합발전소 사업이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불허 결정을 받자 발전용량과 사용 목적을 축소한 이런 SRF제조 및 전용보일러 사업이 급기야 최종 승인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SRF제조, 슬러지 건조 과정, SRF 연소 과정에서 미세먼지와 다이옥신 발생 우려가 일면서 지역시민단체 등 지역민들의 반발을 자초하고 있다.

 

특히 지역주민들은 평택시민단체, 평택시의원 등과 연대, ‘도일동 SRF발전소 건립반대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반대집회와 더불어 탄원서 제출, 1인 시위, 국민청원 등에 나서고 있다. 평택시의회와 평택시도 각각 결의안과 건의문을 통해 SRF 사업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이날 시민연대 등 주민들은 시청 앞에서 사업 승인 취소를 위한 상여투쟁을 갖고 결사항쟁에 나섰다. 

 

주민들은 “평택시는 지난해 한 해 동안 하루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51마이크로그램을 넘은 나쁨 일수가 60일로 157개 지방자치단체 중 2위를 차지했다”며 “이런 상태에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을 허가해 준 것을 지역 주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꼴”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평택은 관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과 인근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까지 처리할 수 있는 복합폐기물 처리시설인 에코센터가 2019년에 가동할 예정에 있다”며 “환경부는 사기업의 이윤보다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우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환경부는 법적으로 조건만 맞는다면 허가를 내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통합환경허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달께 정식으로 평택시에 공문으로 통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택=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