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청년일자리 추경 3조9천억 편성…4년간 22만명 추가고용 창출 기대

오늘 국회 제출키로

정부가 청년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해 조기 추가경정예산(추경) 3조 9천억 원을 편성하기로 했다. 청년일자리 대책에 2조 9천억 원을 지원하고 구조조정으로 고용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에도 1조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5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청년일자리 및 지역대책 추진을 위한 추경 편성안’을 의결했다. 이번 추경안은 6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정부는 추경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달 내 추경안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추경의 쓰임새는 크게 청년일자리 대책 2조 9천억 원과 구조조정 지역 및 업종 대책 1조 원 등 2가지로 나뉜다.

 

청년일자리 대책은 청년층 소득·주거·자산형성 지원 1조 7천억 원, 창업활성화 8천억 원과 새로운 취업기회 창출 2천억 원, 선취업·후진학 지원 1천억 원, 취·창업 실질역량 강화 1천억 원 등이다.

 

중소·중견기업이 정규직 1명을 신규로 채용하면 연봉의 3분의 1을 지원하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제도는 대상기업을 성장유명업종에서 전체 업종으로 확대했다. 지원 단가도 1인당 667만 원에서 최대 900만 원으로 인상했다.

 

창업활성화를 위해 블록체인 등 혁신성장 분야 1천500개 창업팀에 최대 1억 원의 바우처가 지원된다.

 

정부는 또 구조조정 지역 대책으로 근로자·실직자 지원 1천억 원과 지역기업·협력업체 지원 4천 억원, 소상공인 등 지역경제 활성화 2천억 원, 위기지역 지역에 따른 목적예비비 2천500억 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일자리 추경 규모만 놓고 보면 올해 본예산에 반영된 청년일자리 예산 규모와 맞먹는다. 정부는 이번 추경과 세제·제도개선 등을 통해 2018~2021년간 18만~22만명의 추가고용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