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아침] 다원화 사회에 맞는 국회의원 선거제도개혁 필요성

고문현.jpg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 개정이 우리 시대의 뜨거운 화두다. 1987년에 개정된 현행 헌법이 31년이나 지나 시대정신과 헌법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헌법개정이 반드시 필요해졌다.

 

지난 3월26일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으로 인해 이제 공은 국회로 넘어가 현재 국회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논의를 거치고 있다.

 

헌법 개정 못지않게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도 매우 중요하고 절실하다. 선거제도 개혁 논의의 핵심은 다수당에 유리한 현행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의 개혁과 원내교섭단체의 정족수 요건의 완화,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 선거의 개선방안 등이다.

 

먼저, 현행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를 개혁해 중·대선거구제 소수대표제로 바뀌어야 한다. 현재 영호남을 각각 기반으로 하는 양대 다수당에 유리한 현행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를 개혁하여 사표(死票)를 줄이고 소수자도 대표로 선출될 수 있는 중·대선거구제 소수대표제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원적 사회에 부응하기 위한 가칭 녹색당, 농민당 등과 같은 정당이 소수자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위 소수정당이 제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현재 동일정당 소속 국회의원 20인을 요건으로 하는 원내교섭단체 정족수 요건을 대폭 완화해 10인 또는 5인 정도로 해야 한다. 현행 국회의원 20인 요건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제3의 소수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정당의 출현이 쉽지 않게 되고, 민의를 충분히 반영하는 정치체제가 되기 어렵다.

 

셋째, 현행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는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를 채택하고 있다.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란 각 정당에서 비례대표명부를 작성할 때 각 정당의 수뇌부에서 정한 정당명부에 유권자가 단지 찬성표만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정당에서 작성한 비례대표명부의 순서에는 전혀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맹점을 악용해 각 정당 수뇌부에서 비례대표 후보 순위를 정할 때 후보의 능력이나 자질보다는 당에 공천헌금을 많이 납부한 후보를 정당명부의 상위순위에 배치해 왔다.

 

이 때문에 정당이 전국적으로 얻은 득표수를 기준으로 배분하는 비례대표의원에 대해 전국구(全國區)의원이라는 용어 대신 전국구(錢國區)의원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칭이 따라다니곤 했다. 이제는 이러한 폐단을 과감히 시정해 독일처럼 유권자가 정당에서 제시한 비례대표명부의 순위를 통째로 바꿀 수 있는 가변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각 정당에서 설령 1순위에 배치한 후보라 하더라도 유권자들이 보기에는 공천헌금을 많이 납부해 상위순위에 배치된 후보라면 비례대표명부의 최하위로 밀어낼 수가 있다.

결국 처음 정당 명부상에서 상위순위에 배치된 후보더라도 최종 선거결과 동일한 순위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가 없게 돼 공천헌금의 액수를 적게 납부하거나 공천헌금을 납부하기를 거부하려 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제왕적 당대표의 이른바 공천헌금의 폐해는 깨끗이 청산하여 가히 선거혁명을 이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민주주의는 선거를 먹고산다는 말이 있듯이 여야는 역지사지의 자세로 기득권을 과감히 버리고 국민의 다원화된 이익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선거제도의 개혁에 임해 주기 바란다.

 

고문현 한국헌법학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