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3개 국가산업단지에 정부의 산단환경개선펀드 지원을 통한 구조 고도화사업이 잇달아 진행돼 향후 민간투자 확산 효과가 기대된다.
9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개발사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PF(project financing) 심의기준 강화로 산업단지 내 민간투자사업이 위기를 맞음에 따라 정부는 산단환경개선펀드 지원을 통해 민간투자 촉진에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인천 3개 국가산단에서는 이 같은 정부 펀드를 활용한 복합·지식산업센터 조성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지난 2015년 정부 펀드 85억원이 투입된 부평산단 ㈜부평테크시티가 올 하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은 국내 최초 산단 복합용도 조성사업으로 다른 지역 국가산단에서 벤치마킹을 시도할 정도여서 이후 산업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남동산단의 경우 지난해 9월 착공한 ㈜후이즈스마트센터와 지난 1월 착공한 ㈜대창드림타워가 각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후이즈스마트센터는 인천지역 국가산단 중 최초로 역세권(수인선 호구포역 주면)에 조성하는 지식산업센터로, 주변에 민간업체가 주도하는 지식산업센터가 추가로 조성에 나서는 등 민간투자 파급효과를 거두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울러 주안산단 인근에도 지난 1월 포모나 지식산업센터가 착공에 돌입하는 등 정부펀드사업을 매개로 한 구조고도화 사업이 잇달아 닻을 올렸다.
산단공 인천본부는 이들 4개 사업 총사업비 3천25억원 중 365억원이 펀드로 투자됐다고 집계했다.
정부펀드사업은 무엇보다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한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펀드 투입에 따라 산단공 인천본부가 해당 SPC에 이사로 참여, 건축과 마케팅 등 원활한 사업진행과 안정적 펀드청산을 목표로 사업관리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또 회의실 등 공용시설 조성, 공공시설 입주, 임대형 사업 추진 등 민간에서 시도하기 어려운 공공적 성격을 부여할 수 있어 향후 구조고도화 사업의 성공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부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도 산단환경개선펀드의 신규사업 발굴 및 노하우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