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경제는 ‘이중고’…제조업ㆍ건설 주춤한 가운데 고용 부진까지 겹쳐

도내 실물경제는 제조업, 건설업 증가세가 꺾인 가운데 고용 부진까지 겹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에서 발표한 ‘최근의 경기도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도내 제조업 생산(1.4%)ㆍ출하(3.6%)지수 증가 폭이 전월 대비 각각 5.9%ㆍ 8.3% 감소했다. 아울러 취업자 수 증가 폭(13만 4천 명)도 전월보다 7만 6천 명 가량 감소했으며, 고용률도 60.7%로 전월대비 0.7% 하락했다.

 

도내 제조업 생산지수 증가폭 감소 원인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이 전월 17.8%에서 8.5%로 증가세 축소를 보인 것이 지목됐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와 1차 금속 생산지수도 지난해 11월 이후 계속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으며, 증가세에 있는 품목은 전자ㆍ영향ㆍ음향ㆍ통신밖에 없었다.

 

도내 제조업 출하지수도 자동차 및 트레일러가 전월 -2.7%에서 -17.5%로 감소한 데 이어, 기타기계 및 장비도 58%에서 35.1%로 급감한 것이 지수 악화 원인으로 지목됐다.

 

도내 고용지수는 종사 분야와 지위를 가리지 않고 골고루 하락했다.

전기ㆍ운수ㆍ통신ㆍ금융 분야는 취업자 수가 전월 5만 5천 명 에서 7만 3천 명으로 증가했으나, 건설업 취업자가 5만 7천 명으로 5천 명 가량 하락했고 도소매ㆍ음식숙박 취업자는 2만 6천 명 취업에서 오히려 2만 2천 명 실직으로 큰 감소폭을 보였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비정규직으로 대변되는 임시근로자가 전월 3만 5천 명 취업에서 8천 명 실직으로 크게 감소했다. 자영업자도 전월 8천 명 증가에서 8천 명 실직으로 상황이 뒤바뀌면서 추운 봄을 보내고 있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도내 경기가 3월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지난 2월에 제조업ㆍ건설업 증가세가 꺾인 것이 고용 부진으로 이어지는 등 전방위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