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증가율, 연평균 12.1%에서 1.8%로 10.3%p 급락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대규모점포 규제강화 이후 유통업체의 성장성이 둔화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통계청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6년 중 유통기업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대규모점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2012년부터 유통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해 영세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10일 주장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규제 강화 이전인 2007~2011년 중 유통기업의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12.1%로 급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2012~2016년 중에는 1.8%로 직전 4년의 성장률보다 10.3%p 둔화했다. 또 유통기업 수 증가율도 둔화하고 있다. 유통기업 수는 2007~2011년 중 연평균 8.2% 증가했으나, 2012~2016년 중에는 연평균 4.3% 늘었다.
유통기업당 매출액은 2007~2011년 중 연평균 3.7% 증가했으나, 2012~2016년 중에는 2.4% 감소하는 등 역성장하기도 했다. 2016년 기업체 당 매출액은 2천294억6천만 원으로 유통규제 강화 직전인 2011년의 2천448억 원을 밑돌았다.
한경연은 동일 기간 중 서비스업 매출액 증가율이 연평균 10.8%에서 3.8%로 둔화했고, 기업체 당 매출액 증가율이 4.9%에서 1.1%로 둔화했음을 고려해도 유통산업의 성장세 약화는 상대적으로 과도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경연 유환익 혁신성장실장은 “2016년 한국의 200대 유통 소매기업 매출총합은 128조4천억 원으로 미국 유통기업 1개사(코스트코社)의 매출액인 137조8천억 원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포춘 글로벌 500에 포함된 롯데쇼핑은 월마트와의 매출격차가 19.1배에 달하는 등 국내 유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공을 초월한 글로벌 유통환경을 고려할 때, 오프라인 규제에 매몰된 유통규제 강화는 국내 유통산업을 더욱 영세화시켜 성장동력 침하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