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이달 초 단수후보·경선지 발표 예정이었지만 ‘무소식’
이해관계 얽혀 지연… 후유증 감안 시점 조율 등 해석 분분
한국, 지역의원·당협위원장 충돌… 일부 중앙당 심사 가능성
6·13 지방선거를 두달 여 앞두고 여야 경기도당의 후보 공천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의 경우 공천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각종 해석들이 난무하고 있으며, 1차 공천을 마무리한 자유한국당 경기도당은 일부 기초단체장 경선 지역과 보류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의혹이 제기되면서 혼탁 경선도 우려된다.
11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민주당 경기도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는 지방선거 출마후보자 공모를 지난달 27일 마감하고 서류심사, 면접심사를 거친 뒤 현재 내부 심의를 진행 중이다.
당초 도당은 이달 초 단수후보 지역과 경선지역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고, 후보자 등록 20일 전인 다음달 4일까지 공천을 마무리할 방침이었으나 이날 현재까지 단수후보 지역 발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단수후보 지역 발표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각종 해석들이 난무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지역위원회 및 국회의원 이해관계와 공천관리위원간 친소관계가 얽히면서 공천 결정 자체가 늦어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여기에 단수후보 지역 발표 시 경쟁자들의 반발 등 공천 후유증을 감안, 공관위 차원에서 발표 시점을 조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예비후보 A씨는 “예비후보들은 선거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만큼 당 공천결과를 기다리며 노심초사하고 있다”면서 “공천작업이 지연될 경우 예비후보간 진흙탕 싸움이 과열되는 것은 물론 지역위원장, 국회의원 등이 공천작업에 개입하는 불공정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우려했다.
한국당 경기도당은 예비후보와 관련된 각종 의혹과 지역의원·당협위원장 간 충돌로 일부 지역의 후보 공천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중앙당에 심사를 요청하는 기초단체장 지역이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도당은 이날 오전 기초단체장 8명, 광역의원 70명, 기초의원 107명의 ‘1차 공천안’을 최고위원회의에 상정했으며, 3분 만에 의결되면서 ‘합격점’을 받았다.
하지만 전날 기초단체장 경선이 결정된 지역과 보류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동부권 B 지자체는 ‘새로운 의혹 제기’로 경선일정이 잠정 중단됐으며, 북부권 C 지자체에서는 일부 시장 예비후보가 “경선이 확정됐다”는 성급한 문자메시지를 돌려 선거법 위반 논란이 불거졌다. 또 D 지자체는 현직 단체장의 선거법 위반 논란으로 도당 공천관리위원회가 결정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남부권 D지자체는 현역 의원과 당협위원장 간 ‘한 지붕 두 가족’ 갈등으로 광역·기초 의원 공천에 불똥이 튀면서 결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일부 지역에서 불거진 각종 의혹과 현역의원·당협위원장 간 갈등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김재민·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