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4조원, 현대자동차 2조원, SK하이닉스 2조원 등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국내 대기업 중 연구개발(R&D)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삼성전자이고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은 네이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는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R&D 비용을 공시한 21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R&D 비용은 45조2873억 원으로 매출액 1630조5452억 원의 2.78%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R&D에 16조8032억 원을 투자해 유일하게 10조 원을 넘었다. 네이버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율이 24.2%로 국내 대기업 중 유일하게 20%를 넘었고 이는 인텔, 페이스북, 알파벳(구글), 애플 등 세계적 기업들보다도 훨씬 높았다.
R&D 비용은 전년 대비 13.1%(5조2288억 원)가 증가했고, 매출액 대비 비율도 2.80%로 0.14%포인트 상승했다.
R&D 투자비는 삼성전자 등 매출 규모가 큰 기업들이 상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16조8032억 원을 투자하며 유일하게 10조 원을 넘겼고, LG전자는 4조338억 원으로 2위였다. 이어 현대자동차(2조4995억 원), SK하이닉스(2조4870억 원)가 2조 원을 넘겼고, LG디스플레이(1조9117억 원), 기아자동차(1조6419억 원), 네이버(1조1302억 원)도 1조 원대였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율은 포털 및 게임 서비스업체, 제약사들이 상위에 올라섰다. 네이버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율이 24.16%로 국내 500대 기업 중 유일하게 20%를 넘었다.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기업 중 R&D 비용을 공시한 10개 기업의 경우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율이 유일하게 20%를 넘은 인텔(20.87%)도 네이버에는 미치지 못했다. 페이스북(19.1%), 노바티스(18.3%), 알파벳(구글, 15.0%), 화이자(14.6%), 마이크론테크놀로지(14.5%), 애플(5.1%), 도요타(3.8%) 등은 격차가 더 컸다.
네이버에 이어 한미약품(18.61%), 엔씨소프트(16.18%), 대웅제약(13.18%), NHN엔터테인먼트(12.87%), 에스엘(12.47%), 카카오(12.24%), 종근당(11.18%), 녹십자(10.61%), 한국항공우주산업(10.08%) 등이 10%를 넘었다.
반대로 매출액 대비 R&D 비율이 0.1%에도 미치지 못하는 곳은 21개사다. 팜스코와 팜스토리, 포스코대우는 0.01%였고, 코오롱글로벌·현대엔지니어링·고려아연 0.02%, SK인천석유화학·동일방직 0.03%, 현대오일뱅크·GS리테일 0.04% 등이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