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취약계층의 확대 발굴을 위해 공동주택 위기가구 일제조사를 실시한다.
도는 오는 6월 중순까지 도내 31개 시ㆍ군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위기가구 일제조사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최근 극심한 생활고로 힘겨워하다 숨진 지 2개월여 만에 발견된 ‘충북 증평군 모녀 사망 사건’을 계기로 공과금연체와 아파트 관리비 연체 가구를 위주로 진행된다. 대상은 도내 6천377개 전체 아파트 단지로 하되 복지사각지대 발굴 집중도를 고려해 비교적 관리비 연체비율이 높은 LH임대아파트 341개(약 29만 호) 단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조사는 읍ㆍ면ㆍ동 맞춤형복지팀을 중심으로 무한돌봄센터의 민간 사례관리 전문가와 LH권역별 주거복지센터 및 관리사무소, 이ㆍ통ㆍ반장, 지역주민 등의 민ㆍ관 협력으로 이뤄진다. 지원 대상에게는 긴급복지(4인 가구 기준 월 117만 원 생계비 지원, 300만 원 이내 의료비 지원) 및 도 무한돌봄사업(생계비 및 의료비, 월세 보증금 500만 원, 월세 3~4인 기준 월 64만 원 지원)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실시한 고시원 등 찾아가는 주거 취약계층 일제조사의 연계선상에서 도내 취약계층의 확대 발굴을 위해 추진됐다”며 “주변에 위기가정을 알고 있다면 즉시 경기도 콜센터(031-120) 또는 관할 읍ㆍ면ㆍ동 주민센터나 시ㆍ군청에 제보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