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국회의원 보좌진 앞다퉈 선거 지원, 입법활동은 뒷전

‘6·13 지방선거’ 경기도 광역·기초단체장 대진표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여야 국회의원 보좌진들이 속속 ‘지원사격’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가 회기 중임에도 다소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국회의원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보좌진을 지방선거 후보캠프 등에 파견보내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이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일부 경기 의원들은 지방선거 후보 캠프에 국회 보좌진을 파견했거나 파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의원들은 대부분 선거 경험이 있는 핵심 인력들을 착출, 선거 현장으로 본격 투입하는 중이다.

 

더불어민주당 한 도내 의원실 관계자는 “모 중진 의원실 비서관은 광역단체장 예비후보 캠프로 내려가 있다”면서 “격전지로 꼽히는 곳은 일찍부터 보좌진들이 지역으로 파견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자유한국당 경기지역 한 의원실 관계자도 “오는 16일부터 직접 내려가 기초단체장 후보 선거를 돕게 된다”며 “경기도는 이번 선거에서 모든 정당이 관심을 갖고 있어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한국당 경기 의원실 보좌진은 “의원실마다 일률적으로 인원 배분을 정하지는 않는데, 어려운 곳은 모두 내려가기도 한다”면서 “보통 2~3명 정도 내려가는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귀뜸했다.

 

지방선거를 지원하는 보좌진들은 유세 현장에서 유권자의 투표 독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 활동, 후보자 일정 및 지역구 현안 취합 등을 돕는다. 특히 후보의 정책과 선거 유세 등을 가까이서 돕기도 한다. 의원들도 주말 등을 활용, 자신의 지역구를 다니며 후보 지원 사격에 나선다.

 

이처럼 선거지원을 위해 자리를 비우는 보좌진들이 속속 늘어나면서 의원회관이 더욱 썰렁해지는 분위기다. 심한 경우 회관에는 보좌진 1~2명만 남겨 놓고 모두 지역으로 파견, 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 선거를 돕는 모습도 눈에 띈다.

 

의원들이 지방선거 지원을 위해 앞다퉈 보좌진을 파견하면서 본연의 입법 활동 등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야는 4월 임시국회를 열어놓고 방송법 개정안 처리 등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파행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방선거에 (보좌진) 다수가 지역으로 내려가 선거 지원 유세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보좌진들이 국가의 이익이 아닌 각기 지역의 이익, 기득권 유지를 위해 내려가는 것은 ‘개인적인 사유’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