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 ‘부평역사 입체건물 주소 체계 고도화 시범사업’ 추진

인천시와 부평구가 ‘부평역사 입체건물 주소 체계 고도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사업은 행정안전부가 대규모 입체 건물에 대한 건물 내 주소 활용실태의 조사·분석을 통해 미래 도시구조 변화에 따른 주소체계의 표준모델을 마련하기 위해진행한 ‘주소체계 고도화 및 4차 산업 창출 선도 지자체 공모’에 선정됐다.

 

이에 따른 주소체계 고도화 및 4차 산업 창출 선도 지자체로 인천시와 부평구가 선정돼 총 2억원(특별교부세 1억8천만원·지방비 2천만원)의 예산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현재 부평역은 국철 1호선과 인천지하철 1호선의 환승역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상가와 지하 2층으로 연결된 철도역사이자 지하 2층에서 지상 8층까지 상업시설로 이용되는 복합건물이다.

 

부평역의 1일 이용객은 10만여명으로 역 주변 40여개의 버스노선과 1일 8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지하상가 등으로 구성돼 유동인구가 전국 제일이나 유동인구와 비교하면 명확한 주소체계 없이 부평역 민자역사에서 제공한 상가호수와 입점 업체의 각종 사인이 엉켜 있다.

 

시 관계자는 “본 사업이 완료되면 입체건물 주소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사회의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미래 위치기반서비스 등 4차 산업 창출 마중물로 입체건물 주소 부여 인프라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제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