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국비확보 물건너갔다 판단 북도면 주민들 “더이상 인내 불가”
인천공항 소음 보상차원 결단 압박 하반기 설계비 확보 내년 착공 촉구
영종도와 신도를 잇는 연륙교 건설사업이 좀처럼 방법을 찾지 못하면서 옹진군 북도면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정부의 접경지역 사업에 포함됐음에도 심의개최가 장기간 지연돼 사실상 국비확보가 어렵자 주민들은 인천시가 직접 교량을 건설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행안부에 제출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반영하려던 26개 사업이 심의위 회의가 열리지 않으면서 답보상태에 빠졌다. 여기에는 서해 남북평화 연도교(영종~신도~강화 도로) 구축이 포함됐다.
시는 영종~신도~강화 도로 전 구간(14.6㎞) 민자사업에서 영종~신도 구간(3.5㎞)을 재정사업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았다. 지난 2010년 민자사업 착공 이후 8년째 경제성 문제로 사업을 시작조차 못하면서 그나마 경제성이 나오는 영종~신도 구간이라도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상 재정사업으로 변경해 국비 70%를 확보한다는 게 시의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관련 심의 지연으로 진척이 없자 신·시·모도에 거주하는 북도면 주민들은 사실상 국비 확보가 실패했다며, 즉각 인천시 재정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북도면총연합회는 이날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국제공항이 발전할수록 북도면 주민들의 소음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인천공항 개항 후 최근까지 3천300억원의 지방세를 징수한 시는 이제 북도면 주민들의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종~신도 연륙교는 단순히 강화로 향하는 징검다리가 아닌 주민 복지사업”이라며 “올 하반기 설계비를 확보해 내년에는 공사에 착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해 문재인 정부 출범에 따라 영종~신도 연륙교 건설사업을 새 정부 핵심 건의과제로 확정해 전달했다. 시는 인천~개성공단~해주를 잇는 서해평화협력벨트 조성중 1단계로 영종~신도 연륙교 건설사업을 포함했다. 총 사업비를 6천398만원으로 추산한 시는 북도면 일대가 항공기 소음 피해지역임을 감안해 인천국제공사로부터 건설비를 일부 부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1년이 다 되도록 정부로부터 별다른 계획을 확정받지 못해 사업이 여전히 표류, 주민 피해가 커지고 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