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원산지안정성연구소 장맹수 소장, 고비용 저효율 구조 식약처 농약잔류 분석법 개선 요구

▲ 안전성 토론회

식약처가 고비용 구조의 계란 잔류농약 검사를 고집, 개선이 시급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개진돼 눈길을 끌고 있다.

 

주인공은 농축산물원산지안정성연구소 장맹수 소장. 그는 지난 24일 한국소비자연맹이 주관한 ‘축산물의 유해물질 관리 대상 수 확대 및 검출 분석법 확립 토론회’에서 식약처의 잔류농약 검사의 문제를 지적한 뒤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장 소장은 “현재 식약처에서 확립한 식용란(계란)의 잔류농약 33성분 및 그 대사산물의 분석법이 복잡, 1점을 분석하기 위해 11번 이상을 분석해야 해 각 도 동물위생시험소 및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특히 1점 분석에 20일 이상 소요돼 유통이 끝난 후에 분석 결과가 나와 사용할 수 없으며 분석비용도 계란 1점당 145만5천300원에 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식약처의 잔류농약 분석 성분수는 턱 없이 부족한 편으로 살충제 138성분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미국 등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다종류 동시 분석법’을 확립, 고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장맹수 소장
▲ 장맹수 소장
이어 “반면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정, 기관에서 검사하는데 1점 분석비용이 18만7천 원이지만 이들 기관이 식약처 지정 기관이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분석성적서를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꼬집었다.

 

따라서 장 소장은 “농관원이 운영하고 있는 것과 같이 식약처는 식품ㆍ의약품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검정기관 지정제도를 도입한 후 검정기관을 지정해서 운영해야 한다”며 “그래야 농업인, 소비자나 유통업체에서 의심이 들면 시료를 구입한 후 분석 의뢰하는 등 자가품질 관리 및 민간 감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