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4차 산업혁명 대비 여러 주체의 협업 플랫폼 구축 제안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경기도내 대학교와 기업, 연구기관 등 다양한 주체의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축·운영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5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경기도 특성에 적합한 모델을 도출하고, 추진 전략과 실행 계획을 담은 ‘4차 산업혁명 경기도 모델 구축 및 실행계획 연구 : 총론, 실행계획’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도시와 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 경쟁력 있는 국가경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5대 부문 전략과 17개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5대 부문 전략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 교통·물류 구현 ▲스마트 산업화를 위한 스마트공장 확산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구축 ▲스마트 환경관리 및 공공 헬스케어로 건강한 생활환경 실현 ▲공유 및 혁신의 도시 테스트베드 구축으로 4차 산업혁명 거점화 등을 제안했다.

 

또 17개 실행 과제는 ▲자율자동차 테스트베드 조성 ▲스마트공장 확산 ▲스마트시티 에너지 신산업플랫폼 구축 ▲미세먼지의 과학적 관리 ▲스마트 헬스케어 건강도시 구축 ▲판교·광명시흥·일산·안산 테크노밸리를 4차 산업혁명 테스트 베드로 육성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추진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각 테스트 베드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처리·공유하는 메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테스트 베드는 새로운 기술·제품·서비스의 성능 및 효과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 또는 시스템, 설비를 말한다.

 

이정훈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경기연구원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차세대 융합기술원 등 경기도 5개 공공기관과 KAIST, 창조경제연구회(KCERN) 등이 참여하는 협력연구로 진행했다”며 “4차 산업혁명 과제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기업-공공-대학-연구기관 등 다양한 혁신주체의 공유와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모델이 구축·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