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된 가운데 남북접경지역 개발 활성화와 대북사업 등에 대한 기대심리가 커지면서 건설업계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27일 오전 10시15분 파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다. 이에 따라 남북접경지역 개발, 대북사업 등과 관련된 건설업계의 남북경제협력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향후 남북관계의 호조에 따라 이어질 대북사업을 기대하면서 조직까지 개편하는 등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대북사업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통일관련 포럼을 구성하거나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는 등 발 빠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한건설협회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아산 등 대기업은 물론 지방 중소기업과 연구기관, 공기관, 학계, 시민단체 등 약 10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통일포럼’을 조직하기로 했다. 포럼은 내달 8일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고 ‘한반도 개발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 청사진에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바탕으로 남북한을 잇는 철도 및 도로, 항만 등 교통시설 구축과 산업단지 조성, 발전시설 확충, 도시개발, 관광단지 개발, 경제특구 조성 등 계획과 실행 방안이 담긴다.
대형 건설사 등도 토목 전문가 등을 동원, 대북사업 전담팀 구성에 적극적인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달 초 ‘남북 도로연결 TF’를 마련했고,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올 초 신교통혁신연구소에 북방철도연구팀을 신설했다.
북한의 개발 사업도 교통ㆍ물류, 공장시설, 공급시설, 국토지역 등 다각도로 추진되고 있어 건설업계의 다양한 진출 가능성이 기대된다.
LH토지주택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은 단천발전소 착공 등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했으며, 삼지연군 지역개발사업과 홍건도간석지 2단계 건설 등 인프라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북한은 지난 2010년 ‘국가경제개발 10개년 전략계획’(2010~2020년)을 통해 서남 방면(신의주~남포~평양)과 동북 방면(나선~청진~김책)의 양축을 개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상당 부분 겹친다. 이와 관련 현대경제연구원은 남ㆍ북한이 ‘H 경제 벨트’를 조성해 장기적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영길 대한건설협회 주택·인프라·국제협력실장은 “건설산업은 여느 업종보다 남북경협, 나아가 통일에 대비해 역할과 책임이 큰 산업”이라며 “남한 고속성장의 계기가 경부고속도로, 댐, 산업단지 등의 건설이었던 점을 상기할 때 낙후된 북한지역의 인프라 확충이 통일 대한민국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비핵화 논의는 안정적인 경제협력을 위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북한이 경제 부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향후 공장과 SOC 관련 사업에 건설사들이 진출해 개발사업을 벌일 부분이 많을 것”이라며 “다만, 남북평화 논의가 전제돼야 하고 북미회담을 지켜봐야 하는 등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강조했다.
판문점공동취재단=권혁준ㆍ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