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경제청, 송도 11공구 ‘바이오클러스터 확대’ 발표

일부기관 특혜 논란… 1조9천억대 손실… 미해결 난제 ‘수두룩’ 가능성 ‘미지수’

제목 없음-1 사본.JPG
▲ 현재 조성 중인 송도 11공구 현장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현재 매립 중인 송도11공구에 바이오클러스터를 대거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현재 송도지식정보단지(송도 4·5·7공구)와 거의 비슷한 규모의 바이오허브를 추가로 조성해 송도를 세계적인 바이오 분야 산학연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경제청의 계획이다. 그러나 송도 11공구 부지제공을 둘러싼 특혜논란이 여전한데다, 기존 주거용지의 용도변경 여파로 천문학적인 행·재정적 손실이 예상돼 이 같은 경제청의 구상의 실현 가능성은 아직 미지수다.   

생명탐구 열정이 이뤄낸 결과, 송도 글로벌 바이오허브 조성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세계적 바이오분야 기업이 둥지를 튼 송도국제도시는 이미 세계적인 바이오 허브로 꼽힌다. 

바이오단지로 송도지식정보단지 내 약 91만㎡(지난해 기준) 부지에 바이오의약·메디컬·헬스케어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서비스기업과 관련분야 지원인프라가 클러스터처럼 들어선 송도는 연간 약 56만ℓ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단일도시 기준 세계 치대규모 생산역량을 이미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 열린 바이오인터내셔널 2017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지난해 열린 바이오인터내셔널 2017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여기에 더해 현재 매립공사가 진행 중인 송도11공구 내 99만㎡ 부지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이곳에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및 상업화가 가능한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바이오분야 스타트업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각종 지원시설·주요설비를 구축해 바이오 공정 인력양성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다.

지난달 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 허브 조성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구상을 제시한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바이오산업은 오랜 인류의 생명탐구 열정이 이뤄낸 결과”라며 “송도국제도시를 센프란시스코와 싱가포르 등 해외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를 능가하는 최고의 바이오허브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4월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 허브 조성 심포지엄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등 8개 바이오분야 기관들과 협약체결식이 열렸다.
▲ 지난 4월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 허브 조성 심포지엄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등 8개 바이오분야 기관들과 협약체결식이 열렸다.
꺼지지 않는 특혜논란, 부지 용도변경은 ‘숙제’

송도11공구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은 오랜 특혜논란을 규명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지난 2006년 인천시와 송도캠퍼스 조성 기본협약, 2010년 송도세브란스 건립협약 등을 차례로 맺은 연세대학교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협약을 1·2단계로 맺은 가운데 1단계 사업인 캠퍼스 조성 완료, 송도세브란스 건립 등 협약을 이행하지 않았음에도 오히려 2단계 사업인 송도 11공구 부지를 조성원가에 추가 공급한다는 이유에서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3월29일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언더우드 기념도서관 7층에서 열린 ‘연세대 국제캠퍼스 조성사업(2단계) 협약식’에서 김용학 연세대 총장과 협약서에 서명했다. 그러나 1단계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은 가운데 2단계 협약을 맺어 특혜 논란을 빚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3월29일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언더우드 기념도서관 7층에서 열린 ‘연세대 국제캠퍼스 조성사업(2단계) 협약식’에서 김용학 연세대 총장과 협약서에 서명했다. 그러나 1단계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은 가운데 2단계 협약을 맺어 특혜 논란을 빚고 있다.
경제청과 연세대 측은 협약에 1·2단계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문구가 없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현재 송도11공구 부지가 공급보다 수요를 초과하고 있어 일부기관 특혜라는 논란은 여전하다. 

애초 지정된 송도11공구 내 주거용지 용도변경도 숙제다. 경제청은 인천시와 이 문제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행정절차와 1조9천억원에 이르는 손실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지 결정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행정절차와 재정조정에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조만간 가시적인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이 지난 4월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심포지엄에서 송도국제도시 현황 설명에 나섰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이 지난 4월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심포지엄에서 송도국제도시 현황 설명에 나섰다.

글_양광범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