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화해 분위기 조성에 따라 경기북부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중대 과제를 짊어진 북부2차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경기도는 지난 4월 30일 양주와 구리ㆍ남양주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행정안전부에 의뢰하며 공식 행정절차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재정법에 따라 300억 원 이상의 신규 사업을 할 경우 행안부에 사업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타당성이 있는 사업일 경우 투자심사를 거쳐 신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각각 2천억 원 이상을 투입하는 이번 사업은 타당성 조사가 통과되면 내년 상반기 행안부 중앙투자심사, 하반기 도의회 신규사업 동의 및 조사ㆍ설계용역 착수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절차가 마무리되면 2022년(양주)과 2023년(구리ㆍ남양주)에 착공, 각각 2024년과 2025년에 준공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1월 실시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의 자체 수요조사에서 두 사업 모두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됨에 따라 이번 조사 역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오리라 전망하고 있다.
구리ㆍ남양주 테크노밸리는 구리시 사노동과 남양주시 퇴계원 일원에 2천228억 원을 신규투자, 29만㎡ 부지에 하천과 연계한 친환경 첨단 테크노밸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구리시는 조성이 완료되면 1만3천여 명의 일자리 창출과 1조7천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이춘표 도 도시주택실장은 “북부2차 테크노밸리 사업이 완성되면 최근 남북화해 분위기에 따른 북부지역 균형발전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전망”이라면서 “계획 단계부터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은 물론 각 분야의 전문가, 해당 시, 사업시행기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으로 다양한 협력 활동을 벌이며 성공적 사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