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ㆍ외식 가격 늘어나 물가 증가세 뚜렷…“물가 관리 강화 나선다”

농산물 가격과 외식비 물가의 고공행진으로 소비자 물가가 폭등해 체감 식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1.3%)ㆍ전년(1.6%)과 비교해 상승세가 뚜렷했다.

 

특히 농산물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9%나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9%p 끌어올렸다. 이 중 신선 채소가격은 8.5% 상승했고 감자 가격도 76.9%나 치솟았다. 쌀(30.2%), 고춧가루(43.1%), 무(41.9%), 호박(44%) 등 생활과 밀접한 농산물 가격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어류ㆍ조개ㆍ채소ㆍ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4.7% 뛰었다.

 

농산물 가격만큼이나 외식비 물가 상승도 눈에 띄었다.

서비스물가가 1.6% 올랐고 이 가운데 외식비가 2.7% 올랐다. 세부 품목의 증가세는 갈비탕(6.3%)을 필두로 생선회(5.4%), 김밥(4.9%), 구내식당 식사비(3.7%) 등이 두드러졌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물가는 2.4% 올랐다.

 

올해 들어 최저임금이 16.4% 오른 여파로 공동주택 관리비(6.8%), 가사도우미료(10.8%) 등 인건비 비중이 큰 서비스물가 상승이 확연했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이는 자주 사고 지출 비중이 큰 약 140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정부는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가격 강세 품목 물가관리를 강화하고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간 괴리를 줄이는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무ㆍ감자 등 가격 강세 농산물 조기출하ㆍ비축물량 방출 등 수급ㆍ가격 안정대책을 지속하고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등 농산물 수급관리 기반 강화와 유통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식물가 안정을 위해 소비자단체와 연계해 프랜차이즈 등 대상으로 물가감시를 강화하고 공동구매를 조직화하는 등 식재료비 부담 완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