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격과 외식비 물가의 고공행진으로 소비자 물가가 폭등해 체감 식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1.3%)ㆍ전년(1.6%)과 비교해 상승세가 뚜렷했다.
특히 농산물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9%나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9%p 끌어올렸다. 이 중 신선 채소가격은 8.5% 상승했고 감자 가격도 76.9%나 치솟았다. 쌀(30.2%), 고춧가루(43.1%), 무(41.9%), 호박(44%) 등 생활과 밀접한 농산물 가격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어류ㆍ조개ㆍ채소ㆍ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4.7% 뛰었다.
농산물 가격만큼이나 외식비 물가 상승도 눈에 띄었다.
서비스물가가 1.6% 올랐고 이 가운데 외식비가 2.7% 올랐다. 세부 품목의 증가세는 갈비탕(6.3%)을 필두로 생선회(5.4%), 김밥(4.9%), 구내식당 식사비(3.7%) 등이 두드러졌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물가는 2.4% 올랐다.
올해 들어 최저임금이 16.4% 오른 여파로 공동주택 관리비(6.8%), 가사도우미료(10.8%) 등 인건비 비중이 큰 서비스물가 상승이 확연했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이는 자주 사고 지출 비중이 큰 약 140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정부는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가격 강세 품목 물가관리를 강화하고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간 괴리를 줄이는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무ㆍ감자 등 가격 강세 농산물 조기출하ㆍ비축물량 방출 등 수급ㆍ가격 안정대책을 지속하고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등 농산물 수급관리 기반 강화와 유통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식물가 안정을 위해 소비자단체와 연계해 프랜차이즈 등 대상으로 물가감시를 강화하고 공동구매를 조직화하는 등 식재료비 부담 완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