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한국기업에 영향력 끼칠 국제이슈 선제대응 나서

전경련, OECD 자문기구인 BIAC 한국위원회 재정비 후 첫 회의 개최

▲ 전경련은 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김윤 위원장(삼양그룹 회장, 사진 왼쪽 일곱번째)을 비롯한 조세·통상·에너지 등 주요 분야 전문가 10여명이 위원으로 참석한 가운데 'BIAC한국위원회 제1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전경련
▲ 전경련은 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김윤 위원장(삼양그룹 회장, 사진 왼쪽 일곱번째)을 비롯한 조세·통상·에너지 등 주요 분야 전문가 10여명이 위원으로 참석한 가운데 'BIAC한국위원회 제1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전경련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구글세 등 한국 기업에 영향을 미칠 국제 정책이슈들을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경제계가 대응체계를 마련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OECD 정책수립 자문기구인 BIAC(The Business and Industry Advisory Committee) 한국위원회를 재정비 후 3일 제1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012년부터 BIAC 한국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삼양그룹 김윤 회장이 한국위원장을 맡았으며 법무법인 광장 박태호 국제통상연구원장, 법무법인 율촌 정동수 고문, 김앤장 법률사무소 이재훈 고문, 법무법인 화우 박상기 고문 등 전문가 10여 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BIAC는 OECD 회원국의 경제단체로 구성돼 있다. 전경련은 1996년 BIAC 가입 후 2002년 BIAC 총회와 2016년 BIAC 이사회를 한국에서 개최하는 등 한국 경제계 대표로 활동해오고 있다.

김윤 위원장은 “한국경제의 세계적 위상에도 다자외교 무대에서 한국 입장을 대변하거나 ‘구글세’ 등 국제사회에서 장기간 논의되어온 기업 이슈에 대한 한국 경제계의 대응이 부족했다”며 “향후 기업 관련 이슈에 경제계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세ㆍ통상ㆍ에너지 등 주요 분야 전문가를 위원으로 모시게 됐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BIAC한국위원회 개편을 계기로 향후 OECD와 BIAC에서 논의 중인 정책을 심도 있게 분석해 분야별 경제계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합류한 BIAC 한국위원단은 BIAC 산하 통상, 기업지배구조, 조세 및 회계정책 그룹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에 영향을 미칠 국제 기업 이슈들을 국내에 공유하고 OECD에서 한국 경제계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협력실장은 “제2의 구글세와 같은 국제경제 이슈를 선제적으로 파악해 대응한다면 경영환경 급변 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BIAC 한국위원회 위원과 기업 간 간담회를 마련하는 등 사무국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