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어린이 사고 사망률 OECD 12위…자살ㆍ타살 포함해 9위 올라

우리나라는 사고에 따른 어린이 사망 사건의 발생 가능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 1996∼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질병ㆍ자살ㆍ타살을 제외한 비의도적 사고로 인한 어린이 사망률이 10만 명당(이하 동일) 2.8명이었다. 이는 OECD 국가 중 12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OECD 국가 평균(3.1명)보다는 낮다.

 

이 순위는 사망원인통계 및 인구통계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32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매겼다. 입수 가능한 최근 자료를 토대로 시점을 무시하고 비교한 결과다.

 

10년 전인 지난 2005년 OECD의 비의도적 어린이 사망률 평균(26개국 기준)은 5.5명이었고 당시 한국은 8.1명으로 평균을 훨씬 웃돌며 OECD 5위였다.

 

비의도적 어린이 사고 사망률을 원인별로 나눠보면 운수사고ㆍ추락사ㆍ질식사는 한국이 OECD 평균보다 더 높았다. 반면 익사ㆍ화재사ㆍ중독사는 한국이 OECD 평균보다 사망률이 더 낮았다.

 

자살ㆍ타살까지 포함한 어린이 사고 사망률은 OECD 평균이 3.7명이고 한국은 이보다 높은 3.9명으로 9번째로 높았다. 지난 2005년 OECD 평균이 6.3명이었고 당시 한국은 8.1명으로 5위였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