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내에서 휘발유 등 각종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과 화재 등 ‘위험물 사고’가 늘어나는 가운데 위험물 사고 10건 중 8건이 취급자 부주의로 인한 ‘인재(人災)’로 드러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8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각종 화학위험물 사고는 42건으로 2016년의 28건보다 50%(14건)나 증가했다. 위험물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2016년 12명(사망 1명 포함)에서 지난해 22명(사망 2명 포함)으로 많이 늘었고, 재산피해 역시 같은 기간 39억여 원에서 71억 6천여만 원으로 무려 83.4%(32억 6천여만 원) 급증했다.
도내 위험물 사고는 2008년 22건에서 2013년 6건으로 매년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2014년 15건, 2015년 31건, 지난해 42건 등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 같은 위험물 사고는 취급소 등의 증가와 함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새로운 유형의 사고를 위험물 사고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도 재난안전본부는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사고 원인 중 79%가 인적요인으로 대부분이 관리 부주의와 조치소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요인 외에는 물적 요인이 3%, 나머지는 기타 또는 원인 불명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위험물 사고를 분석한 결과 유증기 및 정전기 발생이 많은 여름철과 화기 취급이 많은 겨울철에 사고가 잦았고, 요일별로는 주말을 앞둔 금요일이 가장 많았다. 사고 발생 장소는 무허가 시설이 13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유 취급소, 이동 탱크저장소, 제조소 등이 뒤를 이었다.
도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평소 전혀 생각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전기가 불꽃 등이 발생해 화재 및 폭발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위험물을 취급할 때는 좀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도내 위험물 사고 70건 중 68%는 화재, 23%는 누출, 나머지는 폭발이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