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신규 공공택지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지구 개발 구상단계부터 관련 전문가가 참가해 지구의 콘셉트를 마련하고 관리하는 UCP(Urban Concept Planner) 제도를 운용한다고 8일 밝혔다.
국토부는 작년 주거복지 로드맵을 통해 총 40여 곳의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했고, 후속 조치로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공공주택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는 지구 개발 사업 타당성 단계부터 스마트시티와 제로에너지 등 특화기술 적용과 일자리 창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기존의 주택지구와 차별화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와관련 지금까지는 공공주택지구가 지정되고 나서 지구계획 수립단계부터 전문가가 개입하는 MP(Master Planner) 제도를 운용했지만, 단계의 연계성 부족 지적이 나오자 후보지 선정 전 전문가를 투입하는 UCP 제도 도입이 결정됐다. LH는 공공주택 지구 후보지 선정 후 지구지정 승인 시까지 UCP 제도를 운용하고, 지구계획 수립단계부터는 MP 제도와 연계시킨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들 공공주택지구에서는 주택 외 업무시설 등 지원시설 용지를 확보하고 지역 전략사업을 유치하는 등 일자리 공간을 창출할 방침이다. 또 LH와 같은 공공이 직접 지원시설을 건축하는 등 마중물 역할을 할 계획이다. 신혼과 청년 등을 위한 보육·육아, 복지·문화 콘텐츠가 반영된 특화 단지를 조성하면서 스마트홈과 친환경 에너지 등을 접목한 스마트시티 기술도 적극적으로 보급한다.
UCP 제도는 40곳 중 기존 입지선정 지역과 최근 주민공람에 들어간 곳 등을 제외하고 새롭게 추진되는 공공주택지구에 적용될 예정이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