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스마트폰 데이터 요금이 세계 2위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요금이 가장 저렴한 핀란드와 비교해 무려 70배나 차이나 국내 이통사 요금제가 매우 비싸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9일 이동통신업계 등에 따르면 핀란드의 국제 경영컨설팅 업체 리휠은 최근 유럽연합(EU) 28개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E) 회원국 등 총 41개국 내 수천 개 스마트폰 요금제와 모바일 브로드밴드 요금제를 분석한 ‘2018년 상반기 4G 가격 책정 상황’ 보고서에서 이같이 집계했다.
우선 리휠은 최소 무료통화 1천 분과 고화질 영상용 초당 3메가비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4G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요금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1기가바이트(GB) 당 가격이 13.9유로(1만 7천906원)로 두 번째로 비쌌다. 1위 국가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캐나다가 9,6유로로 3위, 미국이 7유로로 5위에 올랐다.
핀란드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70분의 1 수준인 0.2유로(258원)로 가장 저렴했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 때보다 우리나라는 0.5유로 상승하고 핀란드는 0.1유로 하락해 격차가 45배에서 70배로 확대됐다.
프랑스는 0.8유로로 38위였다. EU 28개국 평균은 2.3유로였으며, OECD 회원국 평균은 2.9유로였다.
한국은 30유로(3만 8천646원) 이하 4G 요금제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양면에서도 1GB로, 41개국 중 39위에 그쳤다.
30유로 이하로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그리스와 몰타를 제외하면 가장 비싼 셈이다.
핀란드와 덴마크, 네덜란드, 스위스 등 10개국이 무제한이었으며 영국과 프랑스, 이탈리아, 이스라엘, 스웨덴, 폴란드 등 6개국은 100GB 이상이었다.
무료통화가 제공되지 않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요금제의 경우 30유로로 사용 가능한 4G 데이터의 양은 한국이 22GB로 41개국 중 공동 34위였다.
핀란드와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9개 국가가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했지만 캐나다는 2GB로 가장 적었다.
리휠은 한국과 캐나다, 미국 내 데이터 중간 가격이 프랑스 시장의 경쟁력 있는 4개 이통사 중간 가격인 0.8유로와 동떨어진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들 국가 이통사들이 데이터 가격을 과도하게 부과한다고 지적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은 “최근 자체 조사에서도 프랑스 등에서 2만 원대에 1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한국 이통사 요금제가 매우 비싼 것은 사실”이라며 “한해 4조 원씩 이익을 거두는 통신 재벌 3사가 담합 구조를 개선하고 통신요금을 대폭 인하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