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싱가포르가 유력해지고 있다. 다만 북미간 비핵화 조율 정도에 따라 개최지가 평양 등으로 막판에 급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주재하며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관련해 “우리는 시기와 회담 장소를 정했다”며 “5월 말이나 6월 초에 개최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을 방문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이날 귀국길에 급유차 들른 요코타 공군기지에서 ”우린 날짜와 시간을 정했다“며 ”다음주 초에 발표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북미회담 날짜로는 5월 말에서 6월 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 오는 22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과 내달 8~9일 열리는 주요7개국(G7) 정상회담을 고려해 날짜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급적 이른 시일에 북미정상회담을 열고 그 결과를 G7 회의에 가져간다는 구상으로 전해졌다. 당일치기로 예상되지만 경우에 따라 하루 연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간 북미정상회담 장소로는 판문점과 싱가포르가 꾸준히 거론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판문점’ 띄우기에 나선 바 있다. 제3국보다 상징적이고 영속적인 장소라는 이유였다. 여기엔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미국 행정부 관리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동이 용이하고 보다 중립적인 싱가포르를 회담 개최지로 선호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회담이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지 못할 경우 정치적인 타격도 고려한 것으로 전해진다.
북미정상회담 장소가 평양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여전히 제기된다. 현재까지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관련해 북측의 목소리가 전혀 발신되지 않은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가장 선호하는 장소이자,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회담의 정치적 파급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소로 평양을 낙점할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은 10일 김정은 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이 ”토의된 문제들에 대해 만족한 합의를 봤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10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열린 미국인 억류자 송환 환영행사에서 ‘북한 방문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답하며 여지를 남겼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