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약자를 위해 저상버스 증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74%가 저상버스 부족 등으로 저상버스를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17일 ‘수도권 대중교통의 교통복지 정책 방향ㆍ대중교통요금 및 이동장애인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9월 도내 휠체어 이용자 6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487명(74%)이 ‘저상버스를 이용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저상버스는 승ㆍ하차를 위한 출입문에 계단이 없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 등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버스의 한 종류다.
조사 대상자들은 저상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목적지까지 가는 버스가 없어서’(25%), ‘버스 내부 안전장치 미비’(21%), ‘오래 기다려야 해서’(20%), ‘운전기사 불친절’(19%), ‘사람들의 시선’(8%), ‘잦은 고장’(7%) 등을 언급했다.
시내버스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37점으로 기록되며,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때문에 이들의 통행수단 비중에서 시내버스는 4%에 불과했다. 이밖에 휠체어(29%), ‘특별교통수단(휠체어를 실을 수 있도록 개조한 승합차)’ 28%, ‘승용차’(19%), ‘전철ㆍ지하철’(14%), ‘무료셔틀버스’(3%), ‘택시’ (1%) 등의 순이었다.
연구를 맡은 김채만 연구위원은 “휠체어 이용자 등 이동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저상버스 등 대중교통수단과 특별교통수단의 최소 공급량을 충족해야 한다”며 “차량 시설의 개선을 통해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도내에는 일반형시내버스 7천816대가 운행 중이며 이 가운데 저상버스는 1천344대(17%)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