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1일부터 단말기·기지국 성능 시험…하반기 미국 인증기업 초청회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국토교통부가 자율협력주행 인프라 기업의 ‘해외진출기술교류’ 지원에 박차를 가한다.
국토부는 지난 3월 발족한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 활동 일환으로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서울 무역전시 컨벤션센터(대치동 SETEC)에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상호호환성 시험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는 차량 센서로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 간(V2V), 차량-인프라 간(V2I) 통신으로 정보를 받아 차량 센서 한계를 보완하는 시스템이다.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 기반을 조성하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지난 3월 출범했다.
협의회는 그간 매달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주요 기업들의 자율주행 관련 사업추진 계획 발표, 스마트 인프라 표준(안) 발표, 중소·벤처기업 설명회 등 다양한 기술교류의 장을 마련해 왔다.
이번 달에는 단말기·기지국 등 스마트 인프라가 조기에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관련 업체들이 개발해 온 통신 장비들이 서로 연계돼 작동하는지를 시험(상호호환성 시험) 한다.
통신 장비가 차량 간(V2V), 차량-기지국(V2I)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규정된 형식을 따르고 있는지, 다른 업체가 개발한 제품과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번 시험을 통해 기업들이 개발한 장비의 성능평가 결과가 나오면 향후 기술보완 및 사업투자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율협력주행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번 행사는 단말기·기지국 관련 제품을 개발해 양산을 앞둔 현대모비스, 카네비컴 등 인프라 분야 선도기업 17개사가 참여해 통신·보안 관련 핵심 성능을 시험할 예정이다.
또 24일에는 스마트 인프라 관련 기술교류 행사도 열린다. 행사에서는 인프라 장비 성능인증 방법·절차와 보안체계 구축방향을 소개하고, 인프라 기술을 직접 볼 수 있도록 상호호환성 시험을 시연하게 된다.
국토교통부 자동차관리관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외국을 나가지 않고도 스마트 인프라 제품 성능을 확인·고도화해 조속히 상용화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하반기에는 미국의 인프라 장비 인증기관을 초청해 미국의 인프라 관련 장비 성능인증 방법·절차를 소개하는 등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