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미래 ‘글로벌 LG’ 견인 구광모 상무 ‘4세 경영’ 본격화
계열사, 전문경영인에 일임 방침 본인은 신성장 사업 발굴 전망
외아들인 구광모 LG전자 B2B사업본부 사업부장(상무)이 LG 경영의 지휘봉을 잡게 되면서 구 상무의 4세대 경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구 상무는 오는 6월 29일 열릴 ㈜LG의 임시 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로 선임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LG는 그룹의 지주회사로, 구 상무가 LG그룹의 경영 전면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구 상무는 구 회장의 동생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의 장남으로, 지난 2004년 고인이 양자로 들이며 LG가의 후계자로 낙점됐다.
구 상무는 ㈜LG의 하현회 부회장을 비롯한 6명의 ‘전문경영인 부회장단’에게 계열사별 현장 경영을 맡기고 자신은 큰 틀의 경영 좌표를 제시하면서 신성장 사업 발굴에 주력할 전망이다. 자동차 전자장비(전망) 사업을 비롯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등이 ‘LG 4세대 총수’ 구 상무가 주력할 미래 사업 후보군으로 꼽힌다.
그동안 와병 중이던 구 회장을 대신해 사실상 그룹 총괄 경영을 맡았던 구본준 부회장은 당분간은 과도체제에서 구 상무에게 ‘조언자’ 역할을 한 뒤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룹 경영에서 손을 떼고 계열 분리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LG그룹은 이날 오전 9시 52분께 구 회장이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평화롭게 영면에 들었다고 밝혔다. LG그룹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의 손자이자 구자경 LG 명예회장의 장남으로 ‘LG가(家) 3세대 총수’인 고인은 지난 1995년부터 그룹 회장을 맡았다. 다양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그룹 핵심 사업인 전기ㆍ전자와 화학 사업은 물론 통신서비스,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에너지, 바이오 등 신성장 사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등 공격적인 경영 행보를 거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도 경영, 가치창조형 일등주의, 도전주의와 시장선도 등을 경영 이념으로 삼으며 LG그룹의 ‘기술개발력 제고’와 ‘세계화 추진’ 등 제2의 경영혁신을 주도적으로 준비했다.
그룹 관계자는 “고인이 지주회사 체제 구축과 계열 분리를 마무리한 2005년 선포했던 이른바 ‘LG 웨이(Way)’는 여전히 그룹 경영활동의 기본이자 기업문화로 뿌리내려져 있다”면서 “미래 경영환경에 대한 선견지명은 ‘글로벌 LG’의 든든한 토대가 됐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