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해치는 종이영수증, 심각한 환경오염까지 초래

과기정통부, 종이영수증 보관 폐지하기로
만지기만해도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농도 2배 증가
전자영수증 확산 위한 정부 통합 대책 마련 시급

종이영수증,전자영수증-vert.jpg
국민건강 및 환경, 자원낭비, 개인정보유출 문제 등을 초래하는 종이영수증 폐지를 위해 정부가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통합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필요한 종이문서를 없애기 위해 정부 예산과 기금 사업비의 종이영수증 보관을 폐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행정서비스영업 전반의 온라인 전자문서 규제 혁신 방안'에 종이영수증 보관 폐지를 주요 사례로 포함해 이를 확정했다.

현재 국내에서 하루에 발생되는 종이영수증은 약 4천만건에 달한다. 이를 위해 소모되는 원목은 연간 33만그루 이며,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은 2,000cc 승용차 21,840대가 내뿜는 양과 맞먹는다.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약 1조 3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종이영수증이 국민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마트 계산원 54명의 BPA농도를 분석한 결과 종이영수증을 맨손으로 만지는 것만으로도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의 체내 농도가 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PA는 종이영수증 등 감열지에 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내분비계 시스템을 교란하는 환경호르몬 중 하나이다. EU 집행위는 2016년 12월 영수증에 사용되는 감열지(Thermal paper) 내 BPA 함유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한다는 집행위 규정을 발표 바 있다.

시중에는 종이영수증을 모바일 전자영수증으로 발급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돼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영수증이 가진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통합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