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강우(40)는 연기생활 17년 동안 주로 액션이나 스릴러에 출연하며 묵직한 캐릭터를 연기했다.
그런 그가 ‘데릴남편 오작두’에서 투박하지만 순정을 간직한 시골 남자 오작두로 변신해 멜로 연기를 선보였다.
최근 서울 강남구 신사동 한 카페에서 만난 김강우는 “전엔 멜로 하기가 겁이 나서 잘 안 했다. 다른 장르와 달리 멜로는 배우의 힘만으로 가야 한다”며 “가장 쉽게 찍을 수 있으면서도 가장 어려운 장르다. 멜로라서 오작두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데릴남편 오작두’는 조금씩 어설픈 구석을 지닌 캐릭터들이 서로 만나며 성장하는 과정을 매끄럽게 그려내 호평을 받았다.
“제가 올해 마흔인데, 전부터 ‘마흔 정도 되면 멜로를 해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어요. ‘데릴남편 오작두’는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처럼 진한 애정 신(scene)이 없어도 가슴을 설레게 했죠.”
김강우는 오작두라는 캐릭터를 만난 것, 좋은 상대 배우를 만난 것을 ‘운이 좋았다’고 표현했다.
“오작두는 사람들이 저에 대해 가진 이미지와 달라서 더 끌렸어요. 비현실적인 인물이었지만 제 목표는 이 인물을 내 옆에 지금 사는 누군가로 만드는 것이었어요. 가진 것은 없지만 당당하고 배려심 있고, 남과는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이죠. 너무 과하면 오버스럽고 너무 얕으면 매력이 살지 않기 때문에 적정선으로 표현하는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김강우는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오작두로 변신하면서 도시적인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그는 “전라도 사투리가 생소해서 처음엔 어려웠다. 광주 출신 소속사 후배에게 4회까지 코치를 받았다”며 “아마 4회까지만 (사투리를) 잘했을 거다”고 웃었다.
주말극이라는 데서 오는 부담감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전엔 주말극이 감정을 쌓아가는 부분에서 깊이감이 떨어진다는 편견이 있었어요. 오작두 캐릭터에 끌려 처음 주말극을 했는데 하고 나니 차이를 모르겠어요. 카메라도 똑같고, 밤새우는 것도 똑같고…. (웃음) 편견이 깨진 것 같아요.”
김강우는 “주말극이 ‘막장’이라는 패러다임을 바꾼 것 같아서 자부심이 생겼다”며 “그래서 좋아해 주는 사람도 많고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2002년 영화 ‘해안선’으로 데뷔한 알린 김강우는 그동안 영화 ‘실미도’(2003), ‘태풍태양’(2005), ‘식객’(2007), ‘돈의 맛’(2012), ‘카트’(2014), ‘간신’(2015)과 드라마 ‘나는 달린다’(2003), ‘세잎클로버’(2005), ‘남자이야기’(2009), ‘골든크로스’(2014), ‘굿바이 미스터 블랙’(2016), ‘써클’(2017) 등 부지런히 작품 활동을 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