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시즌이 임박하면서 가전업계의 이목이 에어컨 판매량에 쏠리고 있다.
재작년과 작년 유독 기세를 부리던 더위 덕분에 에어컨 판매량 기록이 연이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만큼 올해도 기록 경신 여부가 주목된다.
27일 가전업계 추산에 따르면 국내 에어컨 판매 대수는 지난 2016년 220만 대로 당시 역대 최고치에 이르렀고, 이듬해인 지난해 다시 약 250만 대로 2년 연속 신기록을 수립했다.
지난 2년간 가전업계는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에어컨 수요가 폭증하면서 에어컨 품절 대란이라는 몸살을 앓았다.
올해도 에어컨 판매량 기록 경신 행진이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업계에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먼저 업계에서는 올여름 에어컨 판매량이 신기록을 갈아치울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소비자들의 학습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재작년부터 2년 연속 에어컨 대란이 일어나면서 적기에 에어컨을 구입하지 못했던 소비자들의 대기 수요가 일찌감치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전기료 부담 완화와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도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
최근 출시된 에어컨이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에 유지ㆍ관리 비용 때문이라도 신제품으로 바꾸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난해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으로 에어컨 사용 부담이 줄어든 점도 업계 관계자들이 에어컨 판매 호조를 점치는 이유다.
양대 에어컨 제조업체는 재작년ㆍ작년과 같은 에어컨 대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는 벌써부터 에어컨 생산라인 가동에 돌입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지난 3월부터 완전 가동에 들어갔고 생산량을 지난해보다 늘렸다. LG전자도 지난해 3월이었던 가동 시점을 올해는 2월로 앞당겼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