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미세먼지 저감계획을 통한 대기환경 개선에 총력을 기울인다.
27일 시에 따르면 올해 안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서울(PM10 44㎍/㎥, PM2.5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인천은 발전시설과 항만·공항, 수도권매립지 등 국가시설과 남동산단 등 산업단지로 인한 미세먼지 취약지역으로 꼽히지만, 최근 강력한 미세먼지 저감계획을 추진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서울 수준에 근접했다. 실례로 지난해 수도권 미세먼지 농도를 보면 서울(PM10 44㎍/㎥, PM2.5 25㎍/㎥)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PM10 46㎍/㎥, PM2.5 25㎍/㎥를 보였다.
시는 올해 안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서울보다 낮추고, 중장기적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PM10 20㎍/㎥, PM2.5 10㎍/㎥) 달성을 목표로 ‘미세먼지 저감계획’을 추진한다.
저감계획은 도로 나대지 등 재비산먼지, 석탄화력 발전 등 에너지 산업분야·선박 및 공항 등 비도로 오염원·인천항만 및 수도권매립지 출입화물차 발생오염 등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시행하고, 산업단지 등 생산시설 관리강화·국외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 교류 등도 펼친다.
시는 미세먼지 발생 사업장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1사1도로 클린제 운영을 확대하고 수도권매립지, 항만, 공단 등 주변도로의 재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한 진공흡입과 살수도 실시한다. 또 영흥화력 등 10개 발전·정유사가 참여하는 블루 스카이(Blue Sky) 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인천항만공사 등 4개 공사·공단이 참여하는 ‘클린공사 협의회’를 통해 자발적 미세먼지 감축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선박 고압 육상전력(AMP) 공급사업과 선박 배출가스저감장치(DPF) 부착 시범 사업, 항공기 지상전원 공급장치(AC-GPS) 설치 사업, 노후 건설기계 엔진교체 등 저 공해화 사업 등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을 줄일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 저감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체감환경을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