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6·13 지방선거 전략 시선 집중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31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여야가 구상중인 선거 전략이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27일 여야 각 정당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목표치는 높이면서 자세는 낮추는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모습이다.

 

광역단체장의 경우, 당초 목표는 9곳+α’ 승리였으나 한반도 평화모드와 높은 국정지지도·정당지지도 등에 힘입어 그 이상의 성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경북 등 영남 지역 3~4곳을 제외하고 12~13곳을 목표치로 수정하는 분위기다.

 

경기(이재명)·인천(박남춘)·서울(박원순)의 수도권 광역단체장 싹쓸이 승리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이재명 경기도지사 후보의 경우, 자유한국당이 홈페이지에 욕설 파일을 공개하며 네거티브를 하고 있지만 남경필 후보와의 격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선거일까지 17일이 남아 있는 만큼 최대한 낮은 자세로 선거운동에 매진하도록 후보들에게 당부한다는 방침이다. ‘압승’이라는 단어는 금기어에 가깝다. 당 관계자는 “높은 지지율에 오만하지 말고 낮은 자세로 선거운동을 열심히 하라는 중앙당 차원의 ‘공문’을 각 후보에게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사전 투표’를 활용하는 전략과 전통지지층, 최저임금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전 투표’ 활용 전략은 2차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6·12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한반도 평화모드가 지방선거 최대 이슈가 될 것이기 때문에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인 6월8일~9일 사전투표에 집중하자는 의미다. 이를 위해 한국당은 전국 17개 지역 시·도당위원장들에게 사전투표 독려 지침을 전달했다.

 

또한 이른바 ‘숨은 보수’ 지지층을 투표장에 나오도록 독려하고, 최저임금의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표심을 끌어안기 위해 총력전을 펴기로 했다.

 

한국당의 이같은 전략은 한반도 평화모드가 이어질 경우 경기(남경필)·인천(유정복)·서울(김문수) 등 수도권에서 전멸하고 대구·경북 등 일부 지역에서만 승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하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이 지방선거 하루 전에 이뤄지면 투표일 하루 종일 정상회담 뉴스만 나올 것”이라며 “자칫 ‘북풍 선거’로 치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바른미래당은 박주선·유승민 공동대표와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손학규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의 ‘4대 간판’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14곳의 광역단체장 후보 중 1곳 승리도 불투명할 만큼 이들 4명을 내세워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 당선효과를 노려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들 4명은 후보등록 마지막날인 지난 25일 오후 김영환 경기지사 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모두 모여 단합을 과시했다. 바른미래당은 경기도지사 후보와 함께 경기도 19개 시·군에 기초단체장 후보를 내 당선을 노리고 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