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 12년 만에… 여객터미널 등 2022년 완공
국제여객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한·중 교역 확대
또한 국제여객터미널 사업도 오는 2020년에 착공되며, 2022년 국제여객부두와 국제여객터미널 사업이 모두 완공되면 평택·당진항은 남부 수도권 및 중부권의 대중국 교류와 경제성장의 거점 항만으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는 29일 평택·당진항 여객터미널의 시설부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 등을 해소하기 위해 국제여객부두 건설공사를 30일 착공한다고 밝혔다.
평택·당진항에는 현재 영성(396km), 위해(440km), 일조(713km), 연운(733km), 연태(505km) 등 5개의 한-중 여객 항로가 개설돼 연간 48만 명의 여객과 22만TEU의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연면적 6천128㎡의 터미널과 선박 접안시설이 2선석에 불과, 여객선 이용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상황이다.
이에따라 정부는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시설개선을 위해 지난 2006년 12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민간투자 유치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2014년 7월 민간투자사업 지정을 취소하고 국가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 2015년 5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실시설계용역을 거쳐 이달말에 공사를 착공하게 됐다. 사업계획 수립 후 12년 만에 공사를 시작하게 되는 셈이다.
국비 1천116억 원이 투입되는 새 국제여객부두는 3만t급 카페리 등 국제여객선 4척이 동시에 접안 가능한 시설을 갖췄으며, 연간 61만명의 여객과 25만TEU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국제여객부두와 함께 국제여객터미널 사업도 추진한다.
현재 2층 규모인 국제여객터미널은 연면적 약 6천㎡에 주차공간도 238대분에 불과하지만, 새 여객터미널은 547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2만2천151㎡로 규모를 크게 늘렸다.
특히 현대적 감각과 실용성, 상징성을 두루 갖춘 복합여객터미널 형식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내년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2020년에 착공해 부두시설 완공시기에 맞춰 터미널도 완공할 방침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공사가 끝나면 선석 부족으로 인한 부두 혼잡, 재접안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과 여객 불편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중 교역 확대와 이용객 편의 증진으로 대중국 관문항으로서 평택·당진항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