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식선거전 돌입, 지역일꾼 뽑는 일 관심가져야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의 막이 올랐다. 지방선거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은 오늘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13일간 열띤 경쟁을 펼치게 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전국적으로 광역단체장 17명과 교육감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천927명, 교육의원(제주) 5명 등 모두 4천16명의 지역 일꾼이 선출된다. 여기에 국회의원 재보선도 ‘미니 총선’ 수준으로 전국 12곳에서 열린다.

지난 24~25일 후보등록 결과 전국의 지방선거 출마자는 9천317명으로, 평균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경기도의 경우 622명의 지역 일꾼을 뽑는 선거에 1천389명의 후보가 등록, 평균 2.2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167명을 선출하는 인천은 367명이 등록해 평균 2.2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5월 출범한 후 처음 진행되는 전국 단위 선거다. 문재인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운영 성과를 평가받는 첫 심판대라고 할 수 있다.

공식 선거전은 여당인 민주당의 우위 판세 속에 시작됐다. 민주당이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둘 것이란 전망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각각 70%대, 50%대를 유지하는데다,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시작된 한반도 평화 무드가 지방선거를 비롯해 모든 이슈를 집어삼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 전날인 12일 한반도 비핵화의 최대 관문인 북미정상회담이 열려 선거에 작용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런 분위기에서 한국당은 경제 실정론 등을 앞세워 정권 심판 및 견제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현 여권에 중앙권력에 이어 지방권력까지 통째로 몰아주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며 지지를 구하는 모습이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정의당 등은 민주당과 한국당 양당 독점 폐해를 강조하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문제는 유권자들이 지방선거에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요동치는 남북미 관계와 북핵 등 대형 이슈에 묻혀 지방선거는 뒷전이다. 이는 옳지 않은 현상이다. 내 지역의 유능한 일꾼을 뽑는 일을 방관해선 안 된다. 교육, 환경, 지역경제 등 주민생활과 직접 연관된 선거이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내 지역에 어떤 인물이 출마했는지, 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이 뭔지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

이번 선거에선 고소ㆍ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이 지난 28일까지 관내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14건(174명)을 접수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건 유형별로는 흑색선전이 43건으로 가장 많다. 아직도 상대 후보를 헐뜯고 비방하는 흑색선전이 판을 치고, 고소ㆍ고발로 이어지고 있다니 안타깝다. 이런 후보자들은 각성하고, 비방이 아닌 정책선거에 집중해야 한다. 중요한 건, 유권자들이 함량 미달의 후보자를 표로 심판하는 일이다. 유권자의 냉철하고 현명한 판단이 그래서 중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