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6일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DMZ)의 유해발굴을 우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63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보훈은 국가를 위한 헌신에 대한 존경이며 이웃을 위한 희생이 가치 있는 삶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의 가슴에 깊이 새기는 일, 나라를 나라답게 만드는 기본”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미군 등 해외 참전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군인과 경찰의 유해발굴도 마지막 한 분까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정부가 대전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식을 개최한 사례는 지난 1999년 이후 이번이 19년만에 두 번째다. 대전현충원에서 이번 행사를 연 데에는 주로 군인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 보훈의 범위를 앞으로 의로운 일을 한 일반인 등으로 넓히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또 “애국과 보훈에 보수와 진보가 따로 일 수 없다”며 “나라를 나라답게 만드는 일에 국민께서 함께 마음을 모아주시기 바라며, 그것이 대한민국의 힘이 되고 미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역사는 우리 이웃과 가족이 평범한 하루를 살며 만들어온 역사”라면서 “일제 치하, 앞장서 독립만세를 외친 것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쟁터에 나간 것도, 누구보다 성실하게 일하며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것도,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 두 주먹 불끈 쥐고 거리에 나선 것도 모두 평범한 우리 이웃, 보통의 국민이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인과 순직 소방직 및 일반공무원들의 사례를 일일이 열거하면서 “2006년 카센터 사장을 꿈꾸던 채종민 정비사는 9살 아이를 구한 뒤 바다에서 숨을 거뒀고, 2009년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황지영 행정인턴과 어린이집 금나래 교사는 교통사고를 당한 사람을 돕다가 뒤따르던 차량에 목숨을 잃었다”고 안타까워했다.
문 대통령의 이들의 죽음에 대해 “우리 안에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다는 용기가 깃들어 있다는 것을 알려줬다”고 평가한 뒤 “그것이 대한민국을 지탱하는 힘”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보훈제도의 사각지대와 미비점 개선에 대해서도 “지난 3월 구조 활동을 하던 세 명의 소방관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 교육생이었던 고 김은영·문새미 소방관은 정식 임용 전이라는 이유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고 지적하며 “정부는 두 분을 포함해 실무수습 중 돌아가신 분들도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소방공무원임용령을 개정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설치한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은 중국 정부 협력으로 임정 수립 100주년인 내년 4월 완료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